서울성모병원, 말기신부전 50대 여성 환자에 두 번째 신장이식
혈액투석·신장이식·혈액투석 연명…뜨개질 집중하며 절망 극복

▲두 번째 신장이식 수술로 말기신부전을 극복한 환자가 건강을 되찾은 뒤, 정병하 교수(왼쪽)에게 자신이 뜨개질로 만든 카네이션 꽃다발을 전하고 있다. 사진=서울성모병원
“저의 인생에 또 다른 꽃이 피었습니다. 저에게 두 번의 기회는 오지 않을 줄 알았는데 다시 한번 저에게 소중하고 아름다운 꽃을 선물 받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두 번째 신장이식 수술로 새 삶을 시작한 50대 여성이 최근 장기이식센터에 감사 편지를 전했다.
환자는 20대 초반 말기 신부전을 진단받은 후 오랜 기간 혈액 투석을 받아왔다. 1999년 첫 번째 신장이식을 받으며 평범하고 건강한 일상을 기대했지만, 이식 7년 만에 거부반응으로 인하여 이식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었고 다시 투석치료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한 번 이식을 받게 되면 콩팥에 대한 항체의 발생, 즉 고도 감작(High sensitization)으로 재이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환자 역시 첫 번째 이식했던 신장이 기능을 소실하자 항체가 발생하였다. 오랜 대기기간 끝에 이식받을 차례가 되었지만, 항체로 인한 급성 거부반응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7번이나 이식수술 기회를 미뤄야 했다.
이후 기약 없이 기다리며 우울증까지 겪으면서 포기를 생각하기도 했지만, 마음이 힘들 때면 뜨개질로 힘든 시간을 견디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조카아이들 모자·조끼·장갑 같은 소품부터 어머니 생신선물로 드릴 식탁보까지 뜨개질로 완성한 작품들을 주변에 나누며 힘든 투석 치료를 이겨냈다. 의료진도 항체에 대한 정밀 분석 등의 충분한 대비를 해 놓고 좋은 기회를 기다리자고 격려했다.
마침내 올해 4월, 환자와 유전자형이 비교적 일치하는 뇌사자로부터 신장이식을 받을 기회가 왔다. 항체에 대한 정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식 전 항체 주사 등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를 받았다. 이식 후 2주 만에 건강한 상태로 퇴원하였고, 3개월이 경과한 현재 거부반응과 합병증 없이 이식 신장 기능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장기간 환자를 주기적으로 진료하며 용기를 주었던 신장내과 정병하 교수는 “신장투석이 길어지면 혈관 석회화와 같은 다양한 합병증의 발생으로 정작 이식받을 기회가 와도 건강 문제로 이식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은데, 환자분은 철저한 식이 조절을 비롯한 초인적 본인 관리를 해 왔기에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준희 교수에 따르면, 뜨개질은 시각적, 정서적 자극과 양 손에 반복적인 촉감을 전해주어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연구진이 2015년 38명의 식이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뜨개질을 교육한 결과 74%의 환자들이 불안과 식이장애 증상의 호전을 보고했다. 호주 울런공대학교 연구진이 2020년 83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뜨개질 후에 우울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성취감, 편안함, 그리고 자존감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