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소속 서지연 의원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소속 서지연 의원이 “참여할 때는 시민의 꿈을 함께 말하더니, 빠질 때는 손익계산서 한 장이면 충분했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15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공공의 책임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며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서 철수한 현대건설을 강하게 비판했다.
최근 부산 가덕도 신공항의 조기 개항이 무산됐다. 이 공항 공사의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당초 공사 기간보다 2년이 늘어난 내용 등을 담은 기본설계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이후 협의가 이뤄지지 않자 현대건설은 사업에서 철수했다.
그는 이어 “기업의 시장 논리와 경영상 판단은 충분히 존중받아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공공을 앞세워 진입하고, 수익이 낮다며 공공의 이익에 손해까지 끼치고 떠난 행위는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는 현대건설의 행보를 '이익 우선주의'로 규정하며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현대건설이 약 1조 700억원 규모의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사업과 같이 고수익이 예상되고 550조원의 해외시장을 겨냥할 수 있는 분야와 지분 30%를 가진 벡스코 제3전시장 건설에도 집중한다"면서 “반면,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서는 손을 떼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은 합리적 기업의 선택이 아니라 명백한 '우선순위 철학'의 문제"라 강조했다.
서 의원은 현대건설의 철수가 부산시의 신뢰도와 대외위상을 흔든 부정적 파장도 짚었다. 그는 “20년 만에 확보한 가덕신공항 착공 예산은 새 정부 추경에서 대폭 삭감되었고, 소모적인 정쟁과 갈등의 도구로 악용되는 등 시민의 불안을 이끌었다"고 주장했다.
이뿐만 아니라 “컨소시엄 지분에 따라 공동부담한 설계비 600억원의 보유 권리 포기는 지역업체에게 고스란히 부담된다는 지적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서 의원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공책임에 대한 기준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부산시에 주문했다.
그는 “공공의 책임을 다한 기업은 기억되고, 기회를 얻어야하지만 책임을 저버린 기업은 기록되고 조치 받아야 한다"며, “공공사업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여 부산의 품격과 시민의 신뢰를 지키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