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율 45% '소멸 고위험지' 청도군, 출생아 20.9% 증가… 생애주기 맞춤정책 통했다

▲2025년 6월 기준 출생아 수는 전년 동기보다 9명 늘어나며 20.9% 증가했다 제공=청도군
청도=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경북 청도군이 지방소멸 고위험지라는 우려를 딛고 출생아 수 증가라는 의미 있는 반등을 이뤄냈다.
14일 청도군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출생아 수는 전년 동기보다 9명 늘어나며 20.9% 증가했다. 출생률이 낮아지는 게 당연시되던 농촌에서 이 같은 수치는 작은 기적이다.
청도군의 고령화율은 45%, 지방소멸위험지수는 0.097이다. 지수가 낮을수록 고령층화 구조가 심화된다. 0.2 미만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것을 감안하면 인구 지표의 반전이 나타난 셈이다.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가 있다.
청도군의 변화는 '전략적 대응'에서 출발했다. 출산장려금 몇 푼 주고 끝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신혼부부부터 영아기, 학령기, 청년기까지 생애 전주기에 걸쳐 촘촘한 지원책을 내놨다.
1인당 최대 2억 5700만 원에 이르는 혜택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마을'이라는 이미지를 현실로 만들었다.
군은 출산율 반등의 비결로 '단계별 체감형 지원정책'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인구유입 선순환 구조 형성을 꼽는다.
단순히 출산을 장려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아이가 자라고 청년이 되어 지역에 머무를 수 있도록 지원의 폭을 넓혔다.
실제 군은 △신혼부부 주거 지원 △임신·출산 의료·돌봄 지원 △초중고 교육·장학사업 △청년 창업·일자리 연계 등 5단계 맞춤형 정책을 통해 '낳고 기르고 정착하는 흐름'을 만들었다.
출산은 시작일 뿐, 청도는 함께 살아주는 정책을 내놓은 셈이다.
이 같은 노력이 공모사업 성과로도 이어졌다. 청도군은 2025년 행정안전부 고향올래 사업에 선정돼 14억 원을 확보했고, 경북도 '1시군 1생활인구 특화프로젝트'와 '소규모마을 활성화사업' 등 3개 분야에서 13억 1400만 원의 재정도 추가로 끌어왔다.
여기에 지방소멸대응기금과의 연계를 통해 생활인구 정착 기반도 강화하고 있다.
정착을 위한 주거 인프라도 놓치지 않았다.
청도군은 지역활력타운 50호, 행복주택 42호, 매입임대주택 44호, '만원주택' 10호 등 총 146호의 주택을 생활인구에게 공급 중이다.
여기에 민간 주도의 '청도형 자생 돌봄공동체'를 기존 2개소에서 8개소로 확대하며 공동체 중심의 아이 돌봄 생태계도 갖춰가고 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청도군의 생애주기별 정책은 단기적 성과가 아닌, 군민의 삶 전반을 지속적으로 배려하고 책임지는 전략"이라며 “청도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모든 이들이 자신의 삶을 설계하고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행정이 든든히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산율 상승은 단일 성과가 아니다. 그것은 결국 지역이 아이를 키우겠다는 약속, 청년이 떠나지 않아도 되는 환경, 노인이 외롭지 않은 마을을 동시에 만드는 일이다.
청도군의 사례는 지금도 인구 감소로 고심 중인 다른 농촌 지역에 '지방은 끝나지 않았다'는 희망의 증거로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