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에스더

ess003@ekn.kr

박에스더기자 기사모음




강릉중앙고 ‘반도체 교육센터’ 개소…강원 영동권 인재양성 거점 기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08 09:05
강룽중앙고 반도체교육원 개소

▲김진태 도지사와 신경호 도교육감은 7일 강릉 중앙고등학교 반도체 교육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다. 제공=강원도

강원=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강릉중앙고등학교가 강원 동해안권 최초이자 도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교육센터'를 개소하며 강원형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의 핵심 거점으로 나선다.


강원도와 강원도교육청은 7일 오후 강릉중앙고에서 '반도체 교육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이날 김진태 지사를 비롯해 신경호 교육감, 김상영 강릉부시장, 지역 정치인 및 교육계 관계자, 강릉중앙고 반도체 전기과 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반도체 교육센터 개소식, 반도체 교육센터 컷팅식, 반도체제조실(클린룸) 등 주요 실습실 수업 참관, 반도체 전기과 학생 격려, 업무 관계자 간담회 등 순으로 진행됐다.


강릉중앙고 반도체교육센터는 지상 3층 규모로 조성된 첨단 실습시설로, 클린룸을 포함한 제조실과 개발실, 설비보전실 등 최신 장비를 갖춘 전용 교육공간이다. 강원 동해안권에서 필요한 융합형 반도체 기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거점으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최근 강릉을 비롯한 강원 동해간권에는 다수의 반도체 및 첨단산업 기업 유치가 추진되고 있어 향후 관련 산업과의 연계성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현재 강릉중앙고는 올해 3월부터 신입생을 받아 3학급 48명 규모의 반도체 전기과를 운영 중이다. 춘천기계공고(2학급)와 함께 도내 반도체 특성화고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 원주미래고가 오는 2027년부터 반도체기계과(2학급)를 운영할 예정으로, 도내 3개 학교에서 연간 112명의 반도체 실무형 인재를 배출할 계획이다.




김진태 도지사는 이날 축사에서 “강릉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의 중앙고가 이제는 최첨단 반도체학과를 운영하며 지역 산업의 미래를 견인하게 됐다"며 “중앙고를 중심으로 강릉원주대, 관동대까지 함께 뛰어드는 만큼 앞으로는 축구 명문고를 넘어 반도체 명문고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경호 교육감도 “지난해 발표한 도내 3개 권역 직업계고 반도체학과 신설 계획을 현실로 증명하는 자리"라며 “반도체 교육센터는 영동권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인재를 길러내는 거점이 될 것이며 학생들이 국가 핵심산업을 이끄는 전문기술인으로 성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도와 도교육청은 향후 도내 3개 직업계고 간 연계교육을 강화하고, 기숙사 증축(150여억 원)으로 타 시도 학생 유치, 초·중학생 대상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전체로 반도체 기초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도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반도체교육원 등 6개 사업에 1310억 원을 투입 중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성본부와 협력해 'AI·반도체 융합 전문인력 양성사업'도 올해 하반기부터 새롭게 추진하며 인력양성사업을 7개로 늘려 전문생태계 조성에 힘쓸 방침이다.


도는 전문인력 분야 7개 사업과 테스트베드 분야 3개 사업에 총 2320억 원을 투입하며, 강원도 전역의 반도체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섬강고 첫 학기 도약…“미래를 향해, 함께 배우고 성장한다"

섬강고

▲원주 섬강고가 지난 3월 개교해 수업을 하고 있다. 제공=강원도교육청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섬강고등학교가 지난 3월 개교 이후 첫 학기를 마무리하며, 디지털 기반 교육과 자기주도 학습, 예술 활동, 진로 탐색, 지역사회와의 협력 등 다채로운 성과로 교육 현장의 기대에 응답하고 있다.


“미래를 향한 진정한 움직임과 성장"이라는 비전 아래, 학생과 교직원이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학교 문화를 만들어가는 중이다.


섬강고는 디지털 기반 학생 맞춤교육 선도학교로 지정돼 수업과 학교 운영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극 도입했다. 전 교실에 전자칠판을 설치하고, 학생 1인 1태블릿을 활용해 참여형 수업을 진행한다.


방과후 AI수학·AI영어 수업, AI마음일기 쓰기 활동 등 다양한 디지털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키우고 있다.


디지털 기반의 업무 방식은 교사들의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수업의 몰입도와 교육의 질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스스로 공부하는 학교'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돋보인다. 방과후학교와 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 수능 대비 그루터기 프로그램을 통해 기본 학습 역량을 다지고, 자기주도학습 전용 공간에서 맞춤형 학습 상담과 개별 학습을 지원한다.


특히 2회고사 이후에는 '다이브인(DIVE-IN)'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 주제를 설정하고 연구하며 생활기록부의 내실까지 다지고 있다. 교내 천체관측단 활동으로 과학적 호기심을 키우고, 7월에는 교과 융합 활동과 공공기관 견학, 학부모와 함께하는 진로 설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독서를 기반으로 한 진로 탐색도 섬강고만의 자랑이다. 교육부 지정 학생 맞춤형 독서교육 선도학교로서 전교생이 참여하는 진로독서 프로그램과 더불어 교사, 학부모가 함께하는 독서 동아리를 운영한다. 학생들은 관심 분야의 책을 탐색하고 진로를 설계하며,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라는 자체 제작 진로노트를 활용해 자기주도성과 세계시민 의식을 기르고 있다.


7월에는 디지털 활용 진로신문 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또래와 진로 정보를 공유하는 활동도 예정돼 있다.


섬강고는 '예술로 자람학교'로 선정돼 학생 주도의 교가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국어 교과에서 작사를, 음악 시간에 작곡을 배우고 작업해 11월에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녹음한 교가와 뮤직비디오를 공개한다.


교내 스텝라운지 버스킹과 합창 동아리 공연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은 학생들의 자존감과 협업 능력을 키우고 학교생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지역사회와의 협력도 중요한 가치로 삼는다. 공휴일에 학교 주차장을 주민들에게 개방하는 등 학교를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공간으로 만들고, 앞으로도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와 마을이 함께 숨 쉬는 문화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섬강고는 개교 첫 학기를 단순한 '출발'을 넘어 '움직임과 성장'으로 기록하며 미래형 교육의 모델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안현주 교장은 “학생 한 명 한 명이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설계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