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OPEC+, 8월부터 하루 54만8000배럴 증산키로…원유 더 빨리 푼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06 10:31


OIL-OPEC/

▲OPEC 로고(사진=로이터/연합)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가 8월부터 증산에 속도를 더 내기로 합의했다. 국제유가 하락 방어 대신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겠다는 방향으로 생산 정책이 본격 전환된 것이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OPEC+는 5일(현지시간) 화상회의를 열고 8월부터 하루 54만8000배럴 증산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41만1000배럴을 상회한 수치다.


OPEC은 성명을 내고 “안정적인 글로벌 경제 전망과 건전한 시장 펀더멘털에 따른 것"이라며 “이는 낮은 수준의 원유 재고를 통해 반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OPEC+는 지난 4월 13만8000배럴 증산을 시작으로, 5~7월에는 증산량이 41만1000배럴로 늘렸다. 그러나 8월에 이어 9월에도 하루 54만8000배럴 증산을 검토 중이라고 소식통이 블룸버그에 전했다. 이럴 경우 2023 11월부터 시작된 하루 220만배럴의 '2단계 자발적' 감산을 모두 되돌리게 된다.


총 23개국이 참여하는 OPEC+는 3가지 감산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우선 참가국 전체가 따르는 하루 200만배럴씩의 공식 감산이 있다. 여기에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 OPEC+ 주도국은 추가로 1단계 하루 165만배럴, 2단계 하루 220만배럴을 기준으로 자발적 감산에 나서고 있다. 모두 합치면 하루 530만배럴에 달하는데 이는 글로벌 원유 수요의 약 5%에 해당된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현재 OPEC+가 증산을 통해 되돌리는 감산 정책은 2단계 자발적 감산에 해당된다. 마무리되면 OPEC+은 1단계 감산 되돌리기에 나설 예정이다.


OPEC+가 증산에 나서는 배경엔 저유가를 고집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향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OPEC+의 2단계 자발적 감산은 당초 올해 1월부터 감산량을 줄이기로 했지만 이를 3개월 뒤인 4월로 연기했고, 4월부터 하루 평균 13만8000배럴씩 18개월에 걸쳐 감산 폭을 줄이기로 했다.


OPEC+은 특히 5월부터 증산량을 계획보다 3배 늘렸는데 5월엔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를 방문한 달이기도 하다.


이렇듯 OPEC+이 원유 증산에 속도를 내자 글로벌 원유시장은 공급 과잉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 갈등으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종가 기준 배럴당 73.84달러(6월 20일)까지 치솟았지만 지난 3일 67달러로 미끄러졌다.


이런 와중에 북남미 대륙에서 원유 생산 증가, 중국에서 소비 감소의 영향으로 최근 글로벌 원유재고가 하루 100만배럴가량 축적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에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 하반기 공급과잉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고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 골드만삭스는 국제유가가 올 4분기 배럴당 60달러, 혹은 이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오닉스 캐피탈 그룹의 해리 칠리귀리언 리서치 총괄은 “OPEC+가 가격 방어에서 시장 점유율로 방향을 전환했기 때문에 자발적 감사를 유지하는 것이 무의미해졌다"며 “감산을 끝내고 넘어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호르헤 레온 애널리스트는 “OPEC+는 시장 점유율 전략으로 확고하게 전환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보내고 있다"며 “두 가지 중대 질문이 뒤따른다. 첫 번째는 166만배럴(1단계) 감산도 되돌릴지, 두 번째는 이를 흡수할 수 있는 수요가 충분한지 여부다"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