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문남석

ans7200@ekn.kr

문남석기자 기사모음




김영록 전남지사 “전남 미래발전 핵심과제 속도감 있게 추진하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03 10:42

새정부 국정과제 채택·정부추경 SOC 등 국비 추가확보 등 당부

김영록 전남지사 “전남 미래발전 핵심과제 속도감 있게 추진하자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일 오전 도청 왕인실에서 열린 공감과 소통을 위한 7월 정례조회'에서 직원들과 민선8기 3주년 성과를 축하하고 전남 미래발전 도약을 기약하는 파이팅을 하고 있다./제공=전라남도

전남=에너지경제신문 문남석 기자 전남도는 이재명 정부에서 경제활성화와 민생 지원, 지역 먹거리 등 다각적인 정책을 빠른 속도로 추진하는 데 발맞춰 전남 미래발전 핵심과제인 '서남권 인구 50만 혁신성장벨트'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왕인실 정례조회에서 “정부가 빠른 속도로 정책을 추진하는 만큼, 서남권 인구 50만 혁신성장벨트, 광양·순천 미래첨단소재 국가산단 조성 등 미래발전 핵심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자"며 “어떻게 약속한 것을 성과로 이룰 것인지가 중요한 시기다. 속도감 있게 현장에서 발로 뛰는 각오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22일만에 광주·전남 광주 군공항 이전문제와 관련해 대통령실에서 직접 챙기는 6자 TF를 구성키로 하는 등 호남에 많은 관심을 보여줬다"며 “이후 대통령실, 중앙부처 등과 전남 미래 발전을 위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록 지사는 지난 1일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 등을 잇따라 방문해 △서남권 인구 50만 혁신성장벨트 △광양·순천 미래첨단소재 국가산단 조성 △나주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 △고흥 제2우주센터 조성 △여수석유화학산단 위기 대응 △서남권 AI 슈퍼 클러스터 허브 구축 △무안공항 인근 미래 첨단 에어로 시티 조성 △에너지 자립형 미래신도시 △AI 첨단 농·축산업 융복합 지구 조성 △K-디즈니 순천 조성 등 남 미래발전을 위한 주요 핵심과제를 건의했다.


김 지사는 또 “현재 전남의 미래발전 핵심과제들이 새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되도록 의견을 교환하는 단계다. 대통령께서 나중에 크게 발표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 과제들이 잘 되면 전남은 현재 180만 명인 인구가 200만 명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 추경과 관련해선 민생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여수석유화학산단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예산 추가 확보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SOC 사업 예산 추가 확보 등을 강조했다.


김영록 지사 “인공태양 연구시설 공모없이 나주로 정책지정을"

학술대회서 강력 유치 의지…“인프라·정주여건 등 최적지"


김영록 지사 “인공태양 연구시설 공모없이 나주로 정책지정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일 나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열린 '한국가속기 및 플라즈마 연구협회·한국물리학회 플라즈마 분과 정기 학술대회'에 참석해 주요내빈들과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제공=전라남도

전남=에너지경제신문 문남석 기자 전남도는 에너지 대전환 시대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핵심기술로 주목받는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에 박차를 가한다고 3일 밝혔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2일 나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에서 열린 '2025 한국가속기 및 플라즈마연구협회(KAPRA)·한국물리학회 플라즈마 분과 정기 학술대회'에 참석해 전남의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의지를 강력히 밝혔다.


이날 학술대회는 국내 핵융합 및 플라즈마 분야 핵심 연구자 200여 명이 참여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핵융합 기술과 플라즈마 응용 분야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됐다.


정부는 '제4차 핵융합 에너지 진흥계획(2022~2026)'과 지난해 수립한 '핵융합 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을 바탕으로,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핵융합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이에 대형 연구시설 유치에 나선 전남도와 나주시는 빛가람 혁신도시 인근의 안정적 지반과 확장가능한 넓은 부지, 쾌적한 정주 여건, KTX 및 고속도로를 통한 우수한 교통망 등 입지 여건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국내 유일의 에너지 특화대학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중심으로 연구·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2020년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2023년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유치 과정에서 이미 부지의 적합성, 확장 가능성, 기반시설 경쟁력 등을 충분히 입증했다.


전남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초전도도체 시험설비 구축 사업(498억 원 규모)'을 유치해 켄텍에 시험 인프라를 구축 중이며,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전라남도 인공태양 포럼', '전남 인공태양 기업간담회' 등을 통해 핵융합 관련 전문가 및 산업계와의 협력체계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김영록 지사는 축사에서 “인공태양은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미래성장을 동시에 실현할 국가 전략기술"이라며 “전남은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전력산업의 중심지이면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연구 인프라를 갖춰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최적지"라고 밝혔다.


이어 “이미 초전도도체 시험설비 유치 등 실질적 기반을 갖춘 만큼, 국가 핵심기술인 인공태양 산업이 나주를 중심으로 성장하도록 부지 공모 절차 없이 정책지정을 통해 전남 유치를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 심장' 나주 국가산단 시동

국토부 3일 산단계획 승인·고시…2026년 하반기 착공 목표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 심장' 나주 국가산단 시동

▲전남도는 6년간 역점 추진해 온 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이 국토교통부 산업단지계획 승인·고시를 받아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3일 밝혔다./제공=전남도

전남=에너지경제신문 문남석 기자 전남도는 6년간 역점 추진해 온 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이 국토교통부 산업단지계획 승인·고시를 받아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3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은 2018년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경제성 분석(B/C) 1.47을 확보(2022년)하고, 2024년 산업단지계획 신청과 2025년 4월 중앙심의 통과 등 수년간의 절차를 거쳐 3일 승인·고시된다. 나주 에너지 국가산단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에너지 특화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보상계획 수립과 보상 절차에 착수하며, 2026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사업은 전남개발공사와 LH가 공동 시행하며, 총 368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개발 대상지는 나주 왕곡면 덕산리 일원 122만㎡(약 36만 평) 규모다. 에너지 특화 산업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그동안 전남도는 나주시, LH, 전남개발공사와 함께 수차례 합동회의를 개최하며, 사업 시행구역 결정과 보상계획 수립 등 주요 현안을 긴밀하게 협의했다.


특히 관계기관 간 유기적 협업체계 구축을 통해 제도적·실무적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함으로써 행정절차를 신속히 마무리할 밑거름을 제공했다.


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는 앞으로 에너지밸리 조성 확대, 신소재와 나노융합소재 산업 육성, 친환경 IT 기반 산업 생태계 구축 등으로 미래 산업을 선도할 거점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경제 활성화, 민간 투자 촉진,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전반적 경제 파급효과도 클 전망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번 국토부 승인·고시는 전남도와 관계기관이 오랜 시간 함께 노력해 얻은 값진 성과"라며 “앞으로도 나주 에너지 국가산단이 대한민국 에너지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하도록 모든 행정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