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월가 황제’ 다이먼 “금융시장 지정학·인플레 리스크 과소평가” 경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20 08:53
FRANCE-BUSINESS/CHOOSE FRANCE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사진=로이터/연합)

'월가의 황제'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금융시장이 지정학적 갈등이나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등이 초래할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인플레이션 및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발생할 확률은 생각보다 훨씬 더 높은 상황 속에서 미국 자산 가격은 고평가됐으며 신용스프레드는 잠재적 침체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다이먼 CEO는 19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JP모건 주최 투자자 행사에서 “현재 신용은 나쁜 리스크"라며 “대규모 경기 침체를 경험해보지 못한 이들은 신용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요점을 간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다이먼 CEO는 이어 “관세의 영향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상당히 괜찮다고 느끼고 있다"며 “(주식) 시장은 10% 하락했다가 다시 10% 상승했는데 이는 놀라울 정도의 안일함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지난달 초 상호관세를 발표하자 급락했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관세 유예 및 협상 소식에 힘입어 현재 연초 수준으로 회복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고 수준인 'Aaa'에서 'Aa1'으로 하향 조정했음에도 S&P500 지수는 이날 상승 마감했다.


다이먼 CEO는 또 미중 관세 유예 합의로 상대에 대한 관세율이 대폭 낮아졌음에도 현 관세 수준은 “상당히 극단적"이라며 “국가들이 어떻게 대응할지 불확실하고 미국에서 제조시설을 늘리기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린 협상 결과를 예측할 수 없을 것이고 인플레이션 상승,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은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높다"며 지정학적 위험은 매우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향후 6개월 뒤 기업들의 실적 성장률이 0%에 달해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다이먼 CEO는 JP모건 고객이 JP모건 계좌를 통해 비트코인 관련 자산을 구매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이날 밝혔다.


JP모건은 그동안 고객들이 비트코인 선물에 대한 익스포져를 늘리는 것만 허용했지만 이번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다이먼 CEO는 그러나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유지했다.


그는 “저는 흡연을 권장하지 않지만, 당신이 흡연할 권리는 옹호한다"며 “비트코인을 구매할 권리 역시 옹호한다"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