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장하은

lamen910@ekn.kr

장하은기자 기사모음




‘박스피 탈출’ 외치는 대선주자들…시장서는 “갸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3 15:06

대선공약…시장, '실행력' '외부 변수'에 주목

“정책 기대감 유효…반등엔 글로벌 훈풍 필요"

사진=키움증권

▲사진=키움증권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각당 대선주자들이 '박스피(박스권 코스피)' 탈출을 위한 자본시장 공약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실제 주가 반등을 이끌기 위해선 정책 실행뿐 아니라 관세 리스크 등 글로벌 변수에 대한 대비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증권가의 공통된 시각이다.


일각에서는 국내 대선 공약이 불러일으킨 기대감이 실제 증시 반등으로 이어지기보다는 '기대와 현실의 간극' 속에 머무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내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해소와 수출 회복세 등 외부 환경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시각이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앞다퉈 증시 관련 공약을 내놓고 있다. 1400만명에 달하는 개인투자자들의 표심을 자극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후보는 “대한민국 주식시장 활성화는 국민 자산 형평성을 회복하는 길"이라며, 금융 자산으로 부동산 중심 자산 구조를 분산시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후보 공약의 핵심은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상법 개정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 일반주주에 신주 우선 배정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및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활성화 등 투자자 보호 및 권익 강화다. 이 가운데 일부는 이미 국회 문턱을 넘었지만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의요구권 행사로 무산된 바 있다.


김 후보는 '장기 박스피 탈출을 위한 K-자본시장 선진화 공약'을 선보이면서 △역대 최초 대통령의 해외투자자 IR(기업설명회) △상장사 중심 거버넌스 선진화 및 배당소득세 폐지 △경제사범 처벌 대폭 강화 및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이처럼 양 후보가 앞다퉈 자본시장 공약을 쏟아내고 있지만, 시장 안팎에서는 회의적인 시선도 공존한다. '코스피 5000'은 이미 과거 대선에서도 등장했던 구호다. 이명박 전 대통령 역시 2007년 대선에서 동일한 목표를 제시했지만, 결과는 시장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와 수출 의존형 경제구조는 증시 회복에 걸림돌이 됐다. 실제 코스피는 이명박 정부 임기 중 단 한 번도 2300선을 넘지 못했고, 코스피 5000 공약은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정책 공약만으로 지수를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시장이 반응하려면 실행력과 외국인 수급 등 구조적 여건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스피 돌파? “정책보다 실행과 수급이 열쇠"

정책 메시지는 양측 모두 명확하다. 문제는 증시가 이에 어떻게 반응하느냐다. 증권가는 대선 공약이 단기적인 기대감을 자극할 수는 있으나, 실제 증시 반등은 정책 실행력과 외국인 수급 등 구조적 여건에 달려 있다고 본다.


코스피는 지난달 초 관세 쇼크 이후 10% 이상 반등하며 단기 저점을 벗어났지만, 여전히 20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저항을 받고 있다. 증권가는 코스피가 당분간 박스권에서 머물며, 대선 정책과 글로벌 변수 간 줄다리기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결국 박스피 탈출의 열쇠는 '공약'이 아니라 '실행'에 있고, 그 실행이 외국인 자금 유입과 기업 신뢰 회복으로 이어지느냐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라는 데 시장의 판단이 모이고 있다.


NH투자증권은 '2025 한국 대선 공약별 금융시장·산업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이번 대선은 금융시장에 대내 정책 기대감을 높이는 이벤트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양당 모두 재정 확대, 인프라 투자, 반도체·AI·바이오 등 첨단 제조업에 대한 공약을 강조하고 있어, 정책 실행이 확인되는 시점에 코스피와 코스닥 상승 탄력이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내수와 인프라 관련 업종, 코스닥 등 대내 의존도가 높은 시장에서의 반응이 더 클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NH는 4분기에는 미국 예산안 협상, 금리 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에 따라 단기적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경우 국내 정책이 완충재 역할을 하겠지만, 강한 추세 반전의 조건은 아니라는 점도 함께 지적했다.


키움증권은 보다 현실적인 시선을 덧붙였다. 키움증권은 “6월 대선이 단기 테마 장세를 촉발할 수는 있으나, 실제 증시 반등은 외국인 수급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외국인의 수급은 국내 정치보다 글로벌 매크로 환경과 수출 전망에 좌우된다는 분석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