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에스더

ess003@ekn.kr

박에스더기자 기사모음




강원도·춘천시·㈜홍바이오텍, 120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03 09:27

춘천 바이오 특화단지에 본사 이전 및 신공장 설립…46명 신규 고용 창출

홍바이오텍 춘천 이전기업 투자협약식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육동한 춘천시장, 홍진우 ㈜홍바이오텍 대표이사는 2일 강원도청에서 12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제공=춘천시


춘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강원도와 춘천시, ㈜홍바이오텍)은 2일 도청에서 총 12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춘천시 동산면 남춘천일반산업단지 내 신공장 설립 및 본사 이전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협약식에는 김진태 강원도지사, 육동한 춘천시장, 홍진우 ㈜홍바이오텍 대표이사 외에도 박관희·정재웅·임미선·양숙희 도의원이 참석해 지역 바이오산업의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홍바이오텍은 총 120억원(부지 12억원, 건축 25억원, 기계장비 83억원)을 투자해 남춘천산단 2948㎡ 부지에 1969㎡ 규모의 생산시설을 6월 중 착공하고 연말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본사를 춘천으로 이전하고 총 46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2023년 설립된 ㈜홍바이오텍은 의료기기 및 기능성 화장품 전문 제조기업으로, 필러 제품과 더말코스메틱을 주력으로 한다. 이미 동남아시아 및 남미 지역과 약 200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한 상태로, 춘천 신공장을 통해 본격적인 양산 체제에 돌입한다.


춘천은 2024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바이오분야)'로 지정된 바 있으며, 강원대학교·강원대병원 등 우수한 산학 의료기반을 바탕으로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빠르게 구축 중이다. 여기에 기업혁신파크와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등의 성과를 더해 바이오산업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노리고 있다.




홍바이오텍 춘천 이전기업 투자협약식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육동한 춘천시장, 홍진우 ㈜홍바이오텍 대표이사는 2일 강원도청에서 12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제공=춘천시

김진태 도지사는 “이번 투자는 단순한 공장설립이 아닌, 바이오 국가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실질적 성장을 의미한다"며 “지속가능한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해 도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육동한 시장은 “춘천을 선택해 준 ㈜홍바이오텍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며,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홍진우 대표는 “우수한 기술력과 인재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면서, 지역 경제와 고용 창출에도 이바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춘천시는 앞으로도 바이오특화단지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첨단기업 유치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기업 맞춤형 부지 공급, 인허가 원스톱 서비스, 투자보조금 확대 등 실질적 지원책을 통해 춘천이 K-바이오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육동한 춘천시장, “풍년기원 모내기"

육동한 춘천시장 모내기

▲육동한 춘천시장은 2일 오전 신동 일대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모내기를 하고 있다. 제공=춘천시

풍년 기원 모내기

▲육동한 춘천시장은 2일 오전 신동일대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모내기를 하고 있다. 제공=춘천시

춘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육동한 춘천시장은 2일 오전 신동 일대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모내기를 했다.


이날 육 시장을 비롯해 농협중앙회 시지부장, 춘천농협 조합장, 춘천시쌀전업농회장 등 10여명이 참석해 춘천시 육성품종인 청품벼를 이앙했다.


춘천시 육성품종인 청품벼는 고품질의 중생종이다. 다른 품종에 비해 밥맛이 우수하고 비나 바람에 잘 쓰러지지 않는 내도복성(耐倒伏性) 특성을 갖고 있다.


춘천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벼 재배면적 1144ha 중 317ha(28%)를 청품벼로 재배하며, 삼광벼 재배면적은 500ha(44%)로 축소됐다.


시는 지난해부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역 적응 시험포를 운영했다. 올해는 청품벼 종자 구입비로 2400만원을 지원해 기존 삼광품종 재배 농가들이 청품벼로 전환해 재배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또한 알찬미와 특수미 재배면적도 각각 55ha(5%)와 272ha(23%)로 증가하며, 품종 다양화와 기후변화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올해 청품벼를 중심으로 쌀 산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10월 상순경에 청품벼를 수확해 정부 공공비축미 및 소양강쌀로 출하할 예정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대표품종 육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드론을 활용한 비산저감 AI 병해충 방제 시범사업 등 신기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사업을 개발하여 농촌의 노동력 절감과 고품질 쌀 생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풍년 기원 모내기

▲육동한 춘천시장은 2일 오전 신동 일대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모내기를 하고 있다. 제공=춘천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