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하이볼에 밀린 막걸리 “해외 수출로 돌파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2 16:37

홈술 인기로 다른 주종에 밀려 소매 매출 하향세
정부 전통주 활성화 방침 맞춰 글로벌 사업 확대
프리미엄·플레이버 막걸리 등 현지화 제품 주력

서울장수주식회사가 판매하는 살균 막걸리 '월매' 제품 2종. 사진=서울장수주식회사

▲서울장수주식회사가 판매하는 살균 막걸리 '월매' 제품 2종. 사진=서울장수주식회사

국내 시장에서 막걸리 존재감이 약화되면서 주요 전통주 제조사들이 해외 사업을 강화하며 내수 부진을 만회할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2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탁주(막걸리+동동점) 소매점 매출은 2020년 6096억원에서 2023년 5754억원으로 5.6% 감소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시기 홈술·저도주 열풍에 힘입어 상승세를 달린 반면, 일상회복 후 집에서 마시는 수요가 줄고 위스키·하이볼 등 다른 주종으로 수요가 이동한 결과라는 업계 분석이다.


다만, 최근 막걸리 등 전통주 수출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육성책이 발표돼 업계 호조라는 평가가 뒤따른다. 지난 2월 농림축산식품부는 전통주 제조사들의 해외시장 진출·홍보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전통주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오는 2027년까지 전통주 해외 수출액을 5000만 달러까지 높인다는 목표도 밝혔다.


수출 확대 기대감과 함께 관련 업체들도 글로벌 사업 보폭을 더욱 넓히고 있다. 서울장수주식회사는 최근 인도네시아에 대표 살균막걸리 '월매'를 첫 선보였다. 기존 미주·아시아·오세아니아 권역 10여곳이던 제품 수출국을 확장해 브랜드 입지를 다지기 위함이다.


현재 서울장수는 장수 생막걸리·월매 등 24개 품목을 수출하고 있으나, 국가별 제품 선호도는 저마다 다른 편이다. “일본은 신선함을 강조한 장수 생막걸리 수요가 높은 반면, 중화권은 달콤하고 고소한 허니버터아몬드주가 인기를 얻고 있다"며 “동남아시아 지역은 과일 맛·향을 살린 플레이버 막걸리의 호응도가 높다"고 서울장수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번에 인도네시아에 월매 진출을 본격화한 것도 이 같은 의도가 반영된 결정으로 읽힌다. 지난해 일찌감치 월매 라인업도 기존 쌀로 빚은 전통 제품에서 복숭아맛·청포도맛 등 플레이버 제품까지 범위를 넓혔다.


배상면주가의 '느린마을 막걸라' 제품. 사진=배상면주가

▲배상면주가의 '느린마을 막걸라' 제품. 사진=배상면주가

경쟁사인 배상면주가는 올 1분기 기준 일본 막걸리 수출액이 전년 대비 180% 오르며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동남아의 경우 청주·약주 등 맑은 술의 선호도가 높은 반면, 일본은 쌀로 만든 '느린마을 막걸리'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판매량도 증가세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올해 배상면주가는 일본·동남아 등 쌀문화권 중심이던 수출 대상국을 호주, 중국, 몽골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 진출국의 경우 20대~30대 젊은 세대를 핵심 타깃을 고려해 채널 입점 전략을 펼치고, 국내 제품과 동일한 느린마을 라인업 등 프리미엄급 제품 위주로 판매한다는 방침이다.


국순당은 현재 전 세계 약 60개국에 기본 막걸리 외에 다양한 이색 주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프리바이오틱스 성분을 더해 건강 효능을 강조한 '1000억 프리바이오 막걸리'와 함께, 국순당 쌀바나나·쌀 복숭아 등 플레이버 막걸리가 대표 사례다. 플레이버 막걸리의 경우 수출용으로 청포도·딸기맛도 별도 판매하고 있다.


국순당 관계자는 “해외 현지 사정에 맞게 페트와 캔 제품을 다양하게 수출 중이며, 같은 막걸리 브랜드라도 국가별로 알코올 도수도 다양화해 선보이고 있다"며 “향후 해외 고급 시장에 진입하고자 플라스틱 페트에서 벗어나 프리미엄 패키지가 적용된 신제품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순당이 국내외에서 판매하는 '1000억 프리바이오 막걸리' 병, 캔 제품. 사진=국순당

▲국순당이 국내외에서 판매하는 '1000억 프리바이오 막걸리' 병, 캔 제품. 사진=국순당

지평주조는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지평생막걸리·보늬달밤의 수출용 제품인 '지평 프레시', '지평 달밤'의 세계화에 공들이고 있다. 현재 캐나다 등 10개국에 수출 중이며, 연내 약 20개국까지 진출국을 넓힌다는 목표도 세웠다.


진출 속도도 가파르다. 올 초 미국 시장으로 발 뻗어 캘리포니아·텍사스·뉴저지·워싱턴 등 현지 주요 도시의 아시안 채널·식당에서 제품 입점에 성공했다. 지난달부터는 지평 프레시를 앞세워 호주 시장에 발을 들이며 한인 마켓 위주로 유통망을 확장하고 있으며, 마트·온라인 플랫폼 등 추가 입점도 꾀하고 있다.


지평주조 관계자는 “국내 제품 맛과 동일한 막걸리를 선호하는 해외 소비자들이 많아 수출용 제품의 맛뿐만 아니라 패키지도 유사하게 적용하고 있다"며 “전통적인 맛의 기본 제품 위주로 시장을 테스트하고, 향후 국가별 소비자 반응을 바탕으로 제품 다양화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명 막걸리 제조사들 외에도 다수의 국내 전통주 양조장이 글로벌 사업 확장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한국식품연구원이 지난 2월 24일~3월 12일 전국 전통주 양조장 51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의 86.3%는 해외 시장 진출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 전체의 94.1%는 국내외 기관·단체·기업 등의 외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양조장 관계자들 중 70.6%는 글로벌 선도기업과 상생 협력 방안이 마련될 시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호주 시드니 로즈마켓에 진열된 지평 프레시. 사진=지평주조

▲호주 시드니 로즈마켓에 진열된 '지평 프레시'. 사진=지평주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