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사진=연합)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거래가 급증하면서 202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전체 매매건수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지방 아파트 매매건수를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부동선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아파트 매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건수는 올해 6월 2만1888건으로 2만건을 넘어섰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건수는 올해 1월 1만2083건에서 2월 1만3671건, 3월 1만6184건, 4월 1만9천507건, 5월 1만9천842건 등으로 계속해서 높아졌다.
이 중 서울은 올해 1월 2456건에서 6월 6150건으로 3배 가까이 급증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가 급증하면서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가운데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월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 거래 비중은 올해 1월 37.6%에서 2월 41.0%, 3월 40.2%, 4월 44.2%, 5월 45.8%에서 6월 50.5%로 50%를 넘어섰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건수가 지방 매매 건수를 앞선 것이다. 이는 2021년 2월(50.4%) 이후 처음이다.
서울과 수도권은 아파트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반면 지방은 부동산 시장 침체가 계속되면서 수도권 위주로만 매수세가 활발한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9일까지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누적 변동률을 보면 서울의 아파트값은 2.67%, 인천은 1.03% 올랐다. 경기도 아파트가격은 0.23% 하락했지만 수도권 전체로는 0.82% 올랐다. 이 기간 지방은 1.26% 내렸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거래가 확연하게 증가하며 아파트 매매시장에서도 수도권 위주로만 매수세가 활발하다고 진단했다. 당분간 수도권 위주의 매수세 쏠림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슈+] ‘AI 버블론’두고 옥신각신, 팩트는?](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3.929512c4020a4a3081cee760f4ba3c35_T1.jpg)

![[주간증시] 금리·AI 불확실성 속 변동성 확대…코스피 3700선 지지 시험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2.84706991dc474092a0098910c655cd01_T1.png)

![[기후신호등] 글로벌 ‘그린 보호주의’ 파도…산업 대전환으로 넘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b5415c136d794040a09b8615c4c48abf_T1.jpg)
![[풍력산업 주역] 퍼시피코에너지, 전남 해상풍력 개발 선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fa7f0c3df8cf4e15b5d5f6beca2f6f07_T1.png)
![[풍력산업 주역] CIP, 유럽 노하우로 한국 대형 프로젝트 확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c1ac9436578645d4a2076a670e4e8c69_T1.pn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울산·포항·서산 분산에너지 보류, 에너지전환 정치리스크](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1.a8c58eec092f4c988b0ec1cbd8f5f94c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