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택배상품 간선차량
CJ대한통운이 사업 부문별 실적 개선에 힘입어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592억원·영업이익 1254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영업이익은 11.5% 증가했다.
택배·이커머스사업은 매출 9427억원·영업이익 617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물량 등으로 2.3%, 영업이익은 풀필먼트 수주 및 운영 효율화 등으로 0.2% 늘어났다.
하반기에는 대형 플랫폼 수주를 기반으로 택배 물량을 확대하고 이커머스 프로모션 확대로 수익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계약물류(CL)사업은 매출 7371억원·영업이익 426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13.3% 성장했다. 특히 보관·창고·운송(W&D) 부문의 약진이 돋보였다.
물류 컨설팅 역량을 토대로 다수의 신규 3자물류(3PL) 고객을 유치한 영향이다. 향후에도 물류 자동화 기반의 3자물류 사업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글로벌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1239억원·185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5%, 영업이익은 17.8% 확대됐다.
미국에서는 W&D 물량이 많아지고 포워딩 연계 매출이 증가했다. 인도의 경우 수송·철송 신규 고객 수주 및 물량 성장이 이뤄졌다.
포워딩부문도 전략노선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어나고 직구·역직구 사업 확대로 초국경 전자상거래(CBE) 물량이 불어났다. CJ대한통운은 중동 지역 프로젝트 물류도 확대할 계획이다.
건설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555억원·26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0.8%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CJ대한통운은 미국·일본·동남아를 비롯한 주요국 중심의 현지 물류파트너와 연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통해 고객 편의성도 높인다는 구상이다.
미주와 유럽 소재 글로벌 플랫폼사 신규 수주를 늘리고 포워딩→통관→라스트마일 밸류체인 확대로 고객 포트폴리오도 강화한다는 목표다.

![[일문일답] “내년 공급 수도권 2.9만호 모두 분양…연내 대부분 착공”](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b3dfba74e5f94294bbdd38260fb4d491_T1.png)








![[EE칼럼] 데이터센터 논쟁, 전력수요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2cc8189f478749e4a78608eb1c336580_T1.jpg)
![[EE칼럼] 한중 해저 수소 파이프라인 구상이 필요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이슈&인사이트] 한국 AI에 대한 단상](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a08eb2bb1b6148bdbbc5277847497cdf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오세훈 시장의 ‘편의적 속도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5bd8f437407c4ff1aa2af580c79874a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