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쓰오일이 울산에 위치한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서 원유를 정제해서 석유화학 원료를 생산하는 TC2C 설비를 건설하고 있다. 사진=에쓰오일
울산 석유화학산업단지의 구조 개편이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로 복잡한 셈법에 부닥치고 있다.
에쓰오일이 생산 효율화를 위해 추진한 샤힌 프로젝트가 내년 준공되면 에틸렌 생산능력이 늘어 설비 감축이라는 구조개편 방향과 어긋나게 되기 때문이다.
SK지오센트릭도 나프타분해설비(NCC) 경쟁력 강화에 나선 데다 대한유화의 부채비율이 낮아 울산 석화산단이 샤힌 프로젝트를 둘러싼 딜레마를 풀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25일 석화업계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울산 온산국가산단에서 진행 중인 연간 에틸렌 생산능력 180만톤 규모의 샤힌 프로젝트를 내년 상반기에 완공할 예정이다. 현재 공정률은 85%를 넘어섰다.
샤힌 프로젝트는 원유를 직접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하는 시설(TC2C)과 대표적인 기초 유분인 에틸렌 생산 시설(스팀 크래커), 에틸렌으로 고부가가치 고분자 제품(폴리머)을 생산하는 공장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해당 설비가 완공된 뒤 생산하는 에틸렌 중 약 73%(132만톤)을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 고분자 제품(폴리머) 생산에 투입할 계획이다. 나머지 에틸렌 58만톤과 프로필렌 77만톤 등 단량체(모노머) 제품도 생산한다.
그러나, 생산효율 극대화와 에틸렌 생산량 증가라는 양면성 때문에 샤힌 프로젝트가 정부 주도 석화 구조재편 범위에 들어야 하는 지를 두고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울산과 전남 여수, 충남 대산 석화단지 3곳이 줄여야 하는 연간 에틸렌 생산능력은 전체의 18~25%인 270만~370만톤이다. 4~5개의 재편안 가운데 울산에서는 SK지오센트릭과 대한유화, 에쓰오일 간 재편안이 거론되고 있다.
원래 울산 산단은 입주 석화 3사가 지난 10월 외부 컨설팅기관을 통해 사업재편 전략 자문을 받아 사업 재편안을 조율하자고 업무협약(MOU)을 맺으면서 가장 빠르게 산업 재편 자구안을 낼 것으로 기대됐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울산 산단의 연간 에틸렌 생산능력은 △대한유화 90만톤 △SK지오센트릭 66만톤 △에쓰오일 18만톤 등이다. 여수와 대산 산단이 각각 721만톤, 477만톤인 점에 비하면 전체 생산 규모(174만톤)가 작다.
이 같은 상황에서 샤힌 프로젝트가 상업 가동을 시작하면 울산 산단의 에틸렌 생산 능력이 기존의 2배 수준으로 늘어나게 된다.
에쓰오일은 탄소 배출 저감과 정유-석화의 수직 계열화를 통한 생산 효율 향상을 염두에 두고 있다. 자사 TC2C 설비가 나프타분해설비(NCC)를 거치는 기존 설비보다 30~40% 정도 자본지출(CPAEX)·운영비용(OPEX)을 절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에쓰오일은 샤힌 프로젝트의 석화 구조 개편 참여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는 않고 있다. 다만, 이달 3일 3분기 실적 설명회(콘퍼런스 콜)에서 정부 주도 석화사업 재편 목적으로 저효율 설비 감축과 고효율 설비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고도화하는 것이라고 짚은 뒤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는 이러한 정부 정책과 궤를 같이 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울산 지역은 에틸렌과 부타디엔 등 석화 중간 원재료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샤힌 프로젝트는 (에틸렌과 부타디엔) 수입 물량을 국내 생산으로 대체해 울산 석화단지 전체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우회적으로 부정적 입장을 시사했다.
따라서, 울산 산단에서 샤힌 프로젝트를 제쳐 놓고 구조 개편안을 마련하면 실질적인 에틸렌 감축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SK지오센트릭, 대한유화의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울산 산단이 줄여야 하는 연간 생산량은 약 30만~40만톤이다. 3사가 사업 재편안을 마련하더라도 실질적인 에틸렌 생산 감축 효과가 작아지거나, SK와 대한유화 2곳만 생산 감축을 위한 고통을 감당해야 할 수도 있다.
SK지오센트릭과 대한유화의 개별 사정도 공통의 이해관계를 찾는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한다. SK지오센트릭은 최근 SK가스와 손을 잡고 나프타 대신 에탄으로 에틸렌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NCC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대한유화는 3사 중 에틸렌 생산 능력이 가장 크지만, 부채비율이 32%로 낮은 편이라 구조 개편이 시급하지 않다.
결국 에쓰오일과 SK지오센트릭, 대한유화 간 '눈치싸움'이 길어지며 사업 재편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연말까지 석화기업들이 산단별로 사업 재편안을 마련하면 이에 맞춰 세제·보조금 혜택과 연구개발 지원, 기업 결합 심사 간소화 같은 규제 완화를 제공할 계획이다.
울산 산단과 달리 대산 산단은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이 가장 빠른 진도를 내고 있다. 양사는 이미 사업 재편 초안을 정부에 제출했고, 빠르면 이번주 중 재편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금융 풍향계] 네이버페이 ‘Npay 스코어’, 삼성화재 신용대출 적용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5.3415844ba52e4e739f7cd468fa3567c4_T1.jpg)
![[운용사3Q] 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 1탑…글로벌 무대선 ‘확장 국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5.13fadbf4d4a546eb9c227041ce3af54c_T1.png)



![[EE칼럼] 한중 해저 수소 파이프라인 구상이 필요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이슈&인사이트] 어디 비교할 데가 없어서 직전 정부 따위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1109.b66efaf66a144273bc45695d05163e00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오천피’에 취한 시장, 누가 브레이크를 밟나](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5.ea2744cd4b9349ebbcbed4f072154037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