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충북 청주 동부창고에서 열린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2022년 바이오육성 종합 로드맵인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를 발표한데 이어 최근 콘트롤타워인 '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 출범을 발표했다.
우리정부는 지난해 말 바이오육성 콘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출범한데 이어 오는 7월 종합 로드맵인 '대통령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를 발표할 계획이다.
한미 양국 정부가 자국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서로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바이오산업에 대한 인식과 주도기관 등 사뭇 다른점도 보여 눈길을 끈다.
27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지난 22일 미국의 바이오 기술·제조 발전을 위해 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를 출범한다고 발표했다.
이 위원회는 백악관(대통령실)이 주도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과 상무부·국방부가 공동의장을 맡고 국무부, 국토안보부, 보건복지부, 법무부, 에너지부, 농무부, 국립과학재단, 항공우주국 등 9개 연방정부 부처·기관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에 해당하는 상무부와 국방부가 공동의장을 맡는 것도 특징이다. 바이오를 미래 먹거리 산업이자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분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2022년 9월 백악관은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을 발표한데 이어 지난해 3월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은 '미국 바이오 기술·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를 발표했다. 바이오육성을 위한 청사진 역시 백악관이 수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정부는 오는 7월 첨단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로드맵인 '대통령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를 발표할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충북 청주에서 열린 24번째 민생토론회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 행사에서 첨단바이오 R&D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오는 2035년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규모를 200조원으로 키우고 반도체에 이은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 이니셔티브에는 △KAIST 충북 오송캠퍼스 신설 △세계적 규모의 오송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투자확대 등이 담길 전망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해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우리정부는 바이오육성 콘트롤타워인 국무총리 직속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 위원회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기획재정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12개 중앙행정기관이 참여한다.
미국 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와 달리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제외되고 식약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규제기관과 대학교수, 기업인 등 민간위원이 다수(17명)이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는 보건복지부가 간사기관을 맡는다. 바이오를 산업 또는 안보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 보건 또는 규제 측면에서 접근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산업은 하나의 업종을 넘어 의약품·에너지·소재·농업·IT를 아우르는 하나의 경제체계이기 때문에 '수소경제'처럼 '바이오경제(Bioeconomy)'라는 표현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미국이 특정 부처가 아닌 백악관 주도로 국가 '바이오경제' 위원회(National Bioeconomy Board)를 출범시키는 것이 시의적절하며 우리나라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도 제약·보건을 넘어 보다 상위 개념의 콘트롤타워가 돼야 한다는 의미다.
이어 이 관계자는 “국내 바이오업계가 벤처·스타트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오는 7월 발표될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도 기초기술 연구개발 지원을 넘어 상용화와 큰 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전주기 지원 로드맵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