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시간) 인명 수색 계속되는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현장(사진=타스/연합)
1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낸 러시아 수도 모스코바 총격·방화 테러범들이 하루 만에 전부 체포됐다. 러시아 측은 이번 테러에 우크라이나가 연계됐다고 주장하고 있어 3년째 접어든 우크라이나 전쟁에 돌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3일(현지시간)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은 모스크바 북서부 크라스노고르스크의 '크로커스 시티홀' 공연장에서 테러를 벌인 핵심 용의자 4명을 포함해 이 사건 관련자 총 11명을 검거했다.
무장 괴한들은 지난 22일 저녁 공연장에 난입해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건물에 불을 질렀다. 사건 직후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는 테러의 배후를 자처했다.
현재까지 테러로 숨진 이들이 총 133명이지만 사망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현지 매체는 143명 이상이 숨졌다고 전했다. 사망자 중에는 어린이도 최소 3명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안드레이 보로비요프 모스크바 주지사는 구조물 해체 및 인명 수색에 며칠은 더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러시아 당국이 구성한 사건 조사위원회는 핵심 용의자 4명이 모두 모스크바에서 남서쪽으로 약 300㎞ 떨어진 브랸스크 지역에서 검거됐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경찰의 정지 명령을 무시하고 도주하던 르노 승용차와 추격전을 벌인 끝에 핵심 용의자들을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FBS는 “용의자들이 범행 후 차를 타고 도주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으려 했다"며 “이들은 우크라이나 측과 관련 접촉을 했다"고 주장했다. 브랸스크는 우크라이나 국경과 가깝다.
차량에서는 마카로프 권총, AK-47 소총의 개량형인 AKM 돌격소총 탄창, 타지키스탄 여권 등이 발견됐다.
타지키스탄 외무부는 이번 테러 공격에 자국 시민들이 연루됐다는 의혹과 관련해 러시아 당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영 방송사 RT의 편집장 마르가리타 시모냔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검거된 용의자 중 샴숫딘 파리둔(26)은 신원 미상의 '전도사'라는 인물로부터 애초 50만루블(약 730만원)을 대가로 약속받고 범행을 결심했다고 진술했다. 그가 실제 전달받은 돈은 그 절반가량에 불과했지만 지시자로부터 '나중에 100만 루블(1461만원)을 주겠다'고 재차 약속받았다고 한다.
FSB는 추가 공범을 찾아내기 위해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4일을 국가 애도의 날로 선포했다(사진=AFP/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국민 연설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모든 이들에게 깊은 조의를 표한다"며 일요일인 24일을 국가 애도의 날로 선포했다.
푸틴 대통령은 용의자 검거와 관련해 “그들은 우크라이나 방향으로 도주했는데, 초기 정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쪽에 국경을 넘을 수 있는 창구가 마련돼 있었다고 한다"며 “배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찾아내 처벌하겠다"고 다짐했다.
레오니트 슬루츠키 러시아 하원 국제관계위원장은 텔레그램에서 “테러 공격 조사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의 흔적이 더욱 명백해지고 있다"며 “잔혹한 키이우 정권이 테러리스트를 고용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IS가 이번 테러의 배후가 자신들이라고 주장했음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연관성을 제기한 것이다.

▲우크라이나군(사진=AP/연합)
우크라이나 측은 이를 즉각 일축했다. 오히려 이번 참사가 러시아 측의 자작극일 수 있다는 의구심을 드러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일어난 일은 명백하다. 푸틴과 다른 인간쓰레기들이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돌리려 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책임을 전가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은 “우크라이나는 이 사건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받아쳤고,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HUR)은 “모스크바 테러는 푸틴의 명령에 따라 러시아 특수부대가 계획적이고 의도적으로 도발한 것"이라며 자작극 의혹을 제기했다.
우크라이나 측이 이번 테러와 무관함을 재차 밝혔지만 러시아는 이와 상관없이 그 책임을 우크라이나에 돌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실시된 대선에서 87%가 넘는 득표율로 5선에 성공한 푸틴 대통령으로서도 당선 직후에 수백명의 희생자를 낸 초대형 참사가 일어난 것은 내치에 있어 대형 악재로 꼽히기 때문이다.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의 찰스 리치필드 부국장은 “크렘린궁이 분위기를 반전시킬 확실한 경로는 (테러를) 우크라이나 전쟁과 연관 짓는 것"이라며 러시아가 이번 테러를 계기로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공세의 고삐를 더 세게 쥘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이번 테러와 관련해 규탄 입장을 밝히고 희생자 가족에게 애도를 표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은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테러 공격을 강력하게 규탄한다"면서 “우리는 이 극악무도한 범죄로 희생된 사람들의 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명한다"라고 말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도 별도 성명을 통해 “미국은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극악무도한 테러 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라면서 “우리는 무고한 시민을 대상으로 한 비양심적인 공격으로 희생된 사람들의 가족과 부상자 등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테러의 배후를 자처한 IS를 거론하면서 “IS는 모든 곳에서 물리쳐야 할 공동의 적"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