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유한양행, 28년만에 회장직 부활…글로벌 톱50 ‘정조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17 16:17

정기주총서 회장·부회장직 신설 ‘압도적 주주 지지’

특정인 경영권장악 반대 불구 ‘글로벌 도약’ 힘싣기

조욱제 대표 “소유-경영 고수…사유화 없다” 강조

올해 매출 2조 돌파, 해외사업 전문가 영입 등 과제

유한양행

▲유한양행 창업주 고 유일한 박사. 사진=유한양행 홈페이지

유한양행이 주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28년만에 회장직을 부활시켰다. 창립 100주년을 맞는 오는 2026년 글로벌 50대 제약사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유한양행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 15일 서울 동작구 본사에서 열린 제10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회장·부회장 직위 신설을 골자로 하는 정관 일부 변경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로써 유한양행은 지난 1996년 연만희 회장 퇴임과 2009년 정관에서 회장직이 삭제된 이후 처음 회장직이 부활됐다.


당초 회장직 신설이 주총 안건으로 상정된다고 발표됐을 때 일부에서는 특정인을 위한 의도 의혹을 제기하는 등 부정적인 시선을 보냈다.


특정인의 기업 사유화 의도라며 창업주 고 유일한 박사의 '소유-경영 분리' 철학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이날 주총에는 유일한 박사의 손녀인 유일링 유한학원 이사도 이례적으로 참석했으며 '창업정신'을 강조하는 반대 주주들의 발언도 이어졌다.




그러나 이날 표결에서 투표에 참여한 주주의 95%가 회장·부회장직 신설 안건에 찬성표를 던졌다. '창업정신'을 넘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고위 직위 신설이 필요한 시점이라는데 많은 주주들이 공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1926년 창립된 유한양행은 지난해 매출 1조8590억원을 기록, 올해 국내 전통 제약사로는 첫 매출 2조원 돌파가 기대된다.


수년째 국내 매출 1위 제약사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역사에 비해 기업규모나 해외수출 등 글로벌 위상은 높다고 보기 어렵다는게 업계의 평가다. 지난해 수출은 2412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13%에 그친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2022년 매출 기준 글로벌 제약기업 중 92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나마 GC녹십자(95위)에 근소하게 앞서며 국내 제약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다.


유한양행은 창립 100주년이 되는 오는 2026년 글로벌 50대 제약사에 오른다는 목표를 내걸고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를 비롯해 신약개발, 기술수출, 오픈이노베이션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유한양행은 회장·부회장직이 부활돼도 특정인의 기업 사유화나 소유-경영 분리의 창업주 창업정신이 훼손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 역시 해외사업 확대 등을 위해 국내외 고위급 전문가 영입이 필요할 수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회장·부회장직을 신설해 두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주총에서 유일링 이사는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유일한 박사의 이상과 정신이 회사의 경영과 지배구조가 나아가야 할 가이드라인이 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한편, 이날 주총에서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이사 사장은 사내이사로 재선임돼 대표직을 이어가게 됐다. 김열홍 R&D 총괄사장은 사내이사로 신규선임됐고, 이정희 이사회 의장은 기타비상무이사로 재선임됐다.


조욱제 대표는 이날 주총에서 “회장·부회장을 두더라도 임원의 일부로 직위만 다는 것이지 특권을 주는 것은 없다"며 “언젠가 미래를 위해서 회장·부회장 직제가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해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조 대표는 “2년 후 다가올 유한의 100년사 창조를 위해 올해 글로벌 혁신신약으로 당당하게 서게 될 렉라자를 필두로 유한양행의 비전인 '그레이트 유한, 글로벌 유한'을 달성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