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오른쪽 2번째)과 서진석 셀트리온 경영사업부 총괄대표이사(왼쪽 2번째)가 지난 1월 1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웨스틴세인트프란시스호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질의응답하는 모습. 사진=셀트리온
'2027년 글로벌 제약바이오 6대 강국'이라는 정부와 제약바이오업계의 목표가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된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K-제약바이오의 글로벌 톱6 진입'이 장밋빛이 아닌 실현가능한 목표라는 전문 분석이 나와 주목받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2023년 보건산업 통계집'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의약품 매출액)은 230억달러(약 30조3000억원)를 기록해 지난해 210억달러(약 27조6000억원) 대비 8.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내년에 매출액 260억달러(약 34조2000억원)로 올해보다 12.8% 증가하고, 이어 오는 2026년 300억달러(약 39조5000억원)로 13.3%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치를 제시했다.
같은 기간 해외 제약산업 시장 규모는 올해 1조4780억달러(약 1948조원)를 기록해 전년대비 6.2% 성장하고, 이어 내년 4.2%, 2026년 5.7% 커질 것으로 보건산업진흥원은 전망했다. 우리나라 제약시장 성장률이 글로벌시장 성장률보다 2배 이상 높은 셈이다.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도 K-제약바이오의 성장세는 괄목할만하다. 2022년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1위 미국은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4.8%씩 성장했고, 2위 중국은 2.5%, 3위 일본은 -1.6%씩 증가률을 보였다. 6위 프랑스는 5년간 연평균 -0.2%씩 마이너스로 부진했고, 7위 이탈리아와 9위 스페인은 각각 0.2%, 1.9%로 저성장에 그쳤다.
현재 해외시장 점유율 1.6%로 12위를 차지한 한국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3.5% 성장했다. 인도(8위, 6.9%)·러시아(11위, 6.6%)보다 낮지만, 프랑스·이탈리아와 비교하면 확연한 차이를 보여준다.

K-제약 시장 매출 추이 및 성장률
▲자료=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내 의약품 생산액은 2021년 25조4900억원에서 2022년 28조9500억원으로 13.6% 성장했다.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8.2%보다 높다.
또한, 의약품 수출도 2021년 8조590억원에서 2022년 10조4430억원으로 29.6% 많아졌다. 이 역시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9.4%보다 훨씬 높은 성장세다.
엔데믹 이후 우리나라 제약산업 성장이 갈수록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난해 정부가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에서 제시한 '2027년 글로벌 바이오헬스 6대 강국'이라는 목표도 불가능하지만 않다는 전망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지난해 정부의 종합계획은 오는 2027년 의약품 수출 160억달러(약 21조원)를 목표로 설정했다. 최근 수출 성장률을 적용하면 산술적으로 도달가능한 수치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또한, 지난해 정부는 2027년까지 연매출 1조원 이상의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만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신약 '짐펜트라(램시마SC)'는 2025년 연매출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를 목표로 하고 있고,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는 2026년,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는 2029년께 매출 1조원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제시한 오는 2027년 연매출 3조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기업군에 국내 기업 3곳 배출 목표 가능성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2022년 매출 3조원 돌파)에 이어 셀트리온(올해 매출 3조원 돌파 유력)과 유한양행(창립 100주년 맞는 2026년 세계 50대 제약사 등극 목표) 등이 가장 유력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처럼 우리나라가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 문턱에 와 있다는 분위기에서 신약개발 연구개발(R&D) 지원 등 정부 정책만 뒷받침된다면 'K-제약바이오의 글로벌 6대 강국' 꿈이 실현될 가능성 높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