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병효

chyybh@ekn.kr

윤병효기자 기사모음




너무 싼 고속도로알뜰 기름값…“관 개입 않고서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13 13:54

휘발유 기준 정유사폴 대비 60원, 알뜰 평균보다도 30원 저렴

도로공사 통해 가격하락 추정…“정부가 시장에 너무 강하게 개입”

영업악화 일반주유소 폐업 속출…2018년 이후 771개 감소

알뜰주유소

▲2012년 8월 7일 하남만남의광장휴게소에서 당시 박재완 기획재정부장관(맨 오른쪽)과 장석효 한국도로공사 사장(맨 왼쪽)이 고속도로알뜰주유소 100호점 개소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도로공사의 관리를 받는 고속도로알뜰주유소 가격이 일반주유소보다 리터당 60원가량 저렴하고 다른 알뜰주유소보다도 30원가량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진이 거의 없을 정도로 가격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점으로 미뤄 고속도로알뜰 가격에 정부 압력이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업계 추정도 나오고 있다. 영업악화로 폐업이 늘고 있는 일반 주유소들은 시장경제가 망가지고 있다며 한탄의 목소리만 높아지고 있다.


13일 한국석유공사의 주유소 가격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보통휘발유 기준 고속도로알뜰주유소 가격이 정유사폴 주유소보다 리터당 60원가량 저렴하고 알뜰주유소 평균보다도 30원가량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1주 고속도로알뜰과 정유사폴 주유소와의 휘발유 가격차는 61.55원이며, 알뜰 평균과의 가격차는 32.97원이다. 이 가격차는 1월 5주에 각각 69.85원, 30.03원으로 더 벌어졌다. 3월 1주 현재 가격차는 각각 58.67원, 24.92원이다.


고속도로알뜰과 다른 상표 주유소와의 가격차는 해마다 더 벌어지고 있다. 보통휘발유 연평균 가격 기준으로 봤을 때 고속도로알뜰과 정유사폴 주유소와의 가격차는 2018년 46.71원, 2019년 43.17원, 2020년 54.1원, 2021년 45.79원, 2022년 56.21원, 2023년 59.9원이다. 국제유가가 크게 올랐던 2022년 이후로 가격차가 더 크게 벌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6년간 고속도로알뜰주유소(EX)와 다른 상표 주유소 간의 보통휘발유 가격차. (단위:원/리터)

최근 6년간 고속도로알뜰주유소(EX)와 다른 상표 주유소 간의 보통휘발유 가격차. (단위:원/리터)

▲자료=한국석유공사 오피넷

알뜰 평균과의 가격차도 2018년 16.8원, 2019년 12.88원, 2020년 19.52원, 2021년 12.89원, 2022년 23.09원, 2023년 27.23원으로 역시 2022년 이후로 차이가 더 벌어졌다.




주유소업계는 고속도로알뜰 가격에 정부가 개입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강하게 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속도로알뜰 가격은 마진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일반 주유소들은 도저히 따라갈 수 없다"며 “고속도로알뜰도 사업자인데 저런 가격대를 책정한다는 것은 정부의 압력이 미쳤다고 밖에 볼 수 없지 않나. 정부가 시장에 너무 강하게 개입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형식상 고속도로알뜰주유소는 민간 사업자가 운영한다. 하지만 공기업인 한국도로공사의 지도 및 관리를 받기 때문에 사실상 정부의 입김에서 벗어날 수 없다.


업계에 따르면 도로공사는 입찰을 통해 고속도로알뜰 운영사업자를 선정한다. 도로공사는 주유소 운영 평가를 통해 계약을 연장할지, 새 운영자를 모집할지 정한다. 평가 항목에 사실상 가격 안정화가 들어있기 때문에 운영사업자들은 정부의 요구를 안 들어 줄 수 없는 구조다.


고속도로알뜰 운영사업자들은 박리다매로 수익을 얻는다. 그러나 고속도로알뜰로 수요가 쏠리면서 일반 주유소들은 영업악화로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한국석유관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국 주유소 수는 2018년 1만1750개에서 올해 2월 1만979개로 771개(6.5%)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알뜰주유소 수는 1172개에서 1279개로 107개(9.1%) 증가했다. 특히 고속도로알뜰주유소 수는 179개에서 194개로 15개(8.4%) 증가했다.


주유소업계는 알뜰주유소가 정부 지원을 받기 때문에 불공정거래라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지만, 공정위는 공공이익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불공정거래로 볼 수 없다고 결론 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정부의 알뜰주유소와 탄소중립 정책으로 폐업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폐업비라도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