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K-항암신약, 내달 美암학회서 ‘기술수출’ 부푼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10 14:55

국내 제약·바이오사, 4월 5~10일 美암연구학회 대거 참가

신라젠 3개 파이프라인, 유한양행·GC셀 면역치료제 발표

레고캠·티움바이오도 다수 발표…국내 혁신연구 성과 자신

에이비엘바이오

▲지난해 4월 14~19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참관객들이 에이비엘바이오의 포스터 발표를 살펴보는 모습. 사진=에이비엘바이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오는 4월 5~10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올해 첫 세계 3대 암학회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 대거 참가해 차세대 항암기술 연구성과를 선보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신라젠은 이번 AACR 2024에서 현재 개발중인 항암바이러스 '펙사벡'의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


미국암연구학회(AACR)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학회로 불리는 세계 권위의 학회로, 3대 암학회 중 가장 먼저 열려 한 해의 항암연구 트렌드를 가늠할 수 있는 행사로 평가된다.


신라젠은 이번 발표에서 최근 미국 리제네론의 항암제 '리브타요'와의 병용임상 1b·2a상을 마친 펙사벡의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특히 신라젠은 이번 AACR 2024에서 '펙사벡' 외에 항암제 'BAL0891',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SJ-600' 시리즈 등 현재 보유 중인 파이프라인 3개(발표 4건)가 모두 발표논문으로 채택되는 성과를 올렸다.




신라젠이 보유한 '항암바이러스(암세포 내에 침투·번식해 암세포를 파괴하는 바이러스)' 기술은 항암바이러스가 혈관을 타고 신체 곳곳을 돌아다니며 암세포만 파괴하도록 해 기존 항암제로 치료하기 어려운 각종 전이성 암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신라젠 관계자는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이 모든 파이프라인의 연구결과를 메이저학회에서 발표하는 경우는 드문 사례"라며 “펙사벡 1개에 의존했던 과거 신라젠에서 벗어났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한양행은 이번 AACR 2024에서 면역항암제 'YH32367'과 'YH41723' 총 2종의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


두 약물은 종양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동시에 면역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이중항체 면역항암제로, YH32367은 한국과 호주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고 YH41723은 내년 임상 1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GC녹십자그룹의 바이오 계열사 GC셀은 이번 학회에서 독자기술인 'CAR-NK' 플랫폼을 적용한 악성 T세포(면역세포) 림프종 치료제 'GL205(GCC2005)'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T세포 림프종은 기존 항암 화학요법을 제외하면 치료제가 거의 없는 악성 종양으로, GL205(GCC2005)는 기존 'CAR-T(키메릭 항원수용체 T세포)' 기반 세포치료제의 제조·배양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로 평가된다.


최근 오리온그룹이 인수한 항체-약물 접합체(ADC) 선도기업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ADC에 이중항체 기술을 접목한 이중항체 ADC 방식의 항암제 'LCB36'의 비임상 결과를 발표한다.


이밖에 티움바이오는 경구용 면역항암제,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루닛은 인공지능(AI) 기반 항암기술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한암학회 '암연구동향 보고서 2023'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에서 매년 25만명의 암환자가 신규 발생하고 8만명이 암으로 사망한다.


고령화 등으로 국내 암 치료제·진단제품 시장은 2018년 11억달러(약 1조5000억원)에서 내년 22억달러(약 3조원)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내년 글로벌 암 치료제 시장은 3270억달러(약 432조원)로 전망된다.


업계는 내성, 변이 등 다른 질환 치료제에 비해 항암제 개발이 까다롭지만, 10년 전 면역항암제 연구가 국내에 시작됐고 최근 수년간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의 항암분야 신약개발 투자가 증가해 온 만큼 이번 AACR 2024가 우리 기업의 기술수출 기회의 장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