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효성, 내란 막고 유망 신사업 경쟁력 높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28 15:00

신규 지주회사 설립·인적분할 7월1일 예정…효성첨단소재 등 6개사

경영권 분쟁 방지…효성첨단소재, 타이어코드·탄소섬유 등 경쟁력↑

효성

▲조현준 효성 회장(왼쪽), 조현상 부회장

효성그룹이 대내외 경쟁력 향상 속도를 높인다. 경영권 분쟁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막고 신사업 경쟁력을 높여 지속가능성도 끌어올리기 위한 구상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효성그룹은 효성첨단소재·효성토요타·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등 6개사에 대한 출자 부문을 인적분할할 에정이다.


신규 지주회사 효성신설지주(자칭) 설립을 위함이다. 효성그룹은 오는 6월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7월1일자로 존속회사 ㈜효성과 신설법인 등 2개 지주사 체제로 개편할 방침이다.


효성신설지주의 분할비율은 순자산 장부가액 기준 ㈜효성 82%, ㈜효성신설지주 18%다.


이는 승계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효성그룹은 앞서 벌어진 조현문 전 부회장과 그룹간 벌어진 '형제의 난'으로 내홍을 겪은 바 있다.




조 회장과 조 부회장이 보유한 ㈜효성 지분율은 각각 21.94%, 21.42% 수준으로 유사하다. 두 형제의 부친인 조석래 명예회장은 10.14%를 들고 있다.


업계는 조 명예회장의 지분 상속과 두 형제가 보유한 계열사간 지분 스왑 등의 과정을 거쳐 계열 분리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분할을 계기로 양자의 책임경영도 강화될 전망이다. 조 회장과 조 부회장이 각자의 '코어' 사업을 중심으로 역량을 펼칠 수 있다는 논리다.


존속법인에 포함되는 효성중공업은 미국·중동 등 글로벌 전력기기 시장 호황에 힘입어 그룹 내 '4번타자'로 등극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 확대와 노후 변압기를 비롯한 전력기기 교체 수요가 수혜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도 매출 5조원·영업이익 4300억원 규모의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효성티앤씨는 친환경 리사이클 섬유 '리젠'과 바이오 스판덱스를 앞세워 탄소중립 등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다는 목표다.


효성티엔에스도 무인 계산대 'JetCheck™'을 앞세워 ATM을 넘어 무인결제솔루션 역량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효성그룹

▲효성그룹 인적분할 전후 지주사 체계

신설법인의 중추를 이루는 효성첨단소재는 주력·신사업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9000t 규모였던 효성첨단소재의 탄소섬유 생산력은 올해 1만6000t를 넘어 내년 2만1500t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 탄소섬유는 수소 탱크 등 수소경제 활성화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품목이다.


주력 제품으로 꼽히는 타이어코드도 판가 반등에 힘입어 실적 향상에 힘을 보탤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 뿐 아니라 북미와 유럽 지역 RE타이어 수요 회복세가 포착된다는 논리다.


전기차 보급 확대도 수혜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 보다 무거운 탓에 타이어에 가해지는 압력도 높기 때문이다.


효성첨단소재는 인도를 중심으로 글로벌 타이어코드 생산력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효성화학에 대한 부담도 내려놓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다운사이클 장기화 등으로 그룹 차원의 '지원사격'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계열 분리가 이뤄지면 이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효성그룹 관계자는 “지주회사별로 사업분야와 관리 체계를 전문화하고 적재적소에 인·물적 자원을 배분해 경영 효율화를 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