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유4사 CI
지난해 수익성이 전년 대비 대폭 감소했던 정유업계가 올해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2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의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5조4751억원·2조5418억원으로 전망됐다.
매출은 전년 대비 2조원 가량 낮지만, 영업이익은 6000억원 이상 높은 수치다.
에쓰오일은 매출 36조7399억원·영업이익 1조9054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 같은 기간 1조원, 영업이익도 5000억원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추산됐다.
업계는 수급 밸런스가 정유사들에게 유리하게 조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글로벌 정제설비는 일일 80만~100만배럴 가량 증설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수요 증가폭(약 150만배럴)의 절반 수준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음에도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유지하는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동 지역 리스크가 여전한 것도 국제유가 하락을 막고 있다. 국제유가가 일정한 수준으로 형성되면 국내 기업들은 재고평가손실을 피할 수 있다.
지난주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이 전주(14.9달러) 대비 2달러 이상 하락했으나, 다시금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유럽 지역 디젤의 재고가 낮고 아시아와 중동 지역 기업들의 정기 보수도 다가오고 있다는 이유다. 글로벌 항공수요 회복에 힘입어 항공유 판매량이 회복되는 것도 호재다.
중동 지역 리스크도 국제유가·정제마진의 '마지노선' 역할을 하고 있다. 예멘 후티 반군은 미국과 영국 등의 압박에 굴하지 않고 상업용 선박에 대한 공격을 이어간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석유제품 공급도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해말 러시아산 원유를 수송하던 그리스 선사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강화된 것이 원인이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러시아산 원유를 실어나르는 그리스 선박이 1월 기준 8척으로, 지난해 하반기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정제 설비들의 피해가 늘어나는 것도 언급된다. 러시아산 원유값 상승이 중국·인도 정제설비 가동률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가 현재 수준의 감산을 2분기까지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산유국들이 유가 하락을 원치 않는다는 논리다.
산업연구원(KIET)도 앞서 국내 제조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정유업종의 연간 전망 경기실사지수(BSI)가 기준치(100)를 넘을 것으로 분석했다.
내수·수출 개선으로 설비 가동률이 높아지고, 글로벌 원유 수요 확대로 제품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BSI가 100을 넘으면 전년 대비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석유화학 시황이 좋지 않아 관련 사업부의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윤활유와 윤활기유는 견조한 시황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