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C CI
SKC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1조5708억원·영업손실 2163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4.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2차전지와 반도체 전방시장이 부진했고, 글로벌 경쟁도 심화된 탓이다.
SKC는 영업양도 및 매각이 확정된 △SK피유코어 △SK엔펄스 파인세라믹스 △웨트케미칼 사업 등은 중단사업으로 처리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2차전지·반도체·친환경 소재 등 3대 성장축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BM) 혁신도 지속하고 있다.
2차전지용 동박사업 투자사 SK넥실리스는 지난해 고객사를 다변화하고 말레이시아 공장 가동도 시작했다. 이는 원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실리콘 음극재 사업화를 위한 투자사 얼티머스도 설립했다.
반도체 사업은 고부가 소재·부품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 중이다. 저부가 기초소재 사업을 정리하는 대신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분야 기업 ISC를 인수하고 패키징 기술 기업인 미국 칩플렛에 투자를 단행했다.
세계 최초 반도체 글라스 기판 상업화를 준비 중인 앱솔릭스의 미국 조지아 1단계 생산공장 건설도 막바지 단계다.
친환경 소재 사업의 경우 지난해 베트남에 세계 최대 규모인 연 7만t급 생분해 소재(PBAT) 생산시설 건설을 확정했다. 섬유 등 특화용도 제품을 최초로 개발하는 성과도 냈다.
SKC는 올해 주력사업의 실적 회복을 앞세워 외형 성장 및 하반기 턴어라운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설비 투자 속도를 최적화하는 등 재무 건전성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말레이시아 공장 생산 비중을 높이고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인증을 진행한다. ISC의 차세대 테스트 소켓 판매 확대도 추진한다. 앱솔릭스는 미국 반도체지원법에 따른 보조금을 비롯한 정책 지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최근 홈페이지에 'IR 페이지' 코너를 신설하고 투자자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행보도 지속한다.
SKC 관계자는 “마라토너들이 반드시 겪는 격렬한 고비의 순간 '데드 포인트'를 지나고 있다"며 “주력사업의 수익 구조 강화와 신규 사업의 차질 없는 조기 안착 및 재무 건전성 확보를 추진하며 견뎌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