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업계에 따르면 이들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전담하는 ‘한반도 권역별 종합 2D·3D 물리탐사 및 전산재처리를 통한 상용화급 대규모 저장소 확보’ 국책과제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과거 확보한 자료를 개선하고 추가 탐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표준화되지 않은 저장소 선정 방법에 대한 기준도 제시할 계획이다.
SK어스온은 2021년 탄소 포집·저장(CCS) 전담조직을 설립하고 국내 뿐 아니라 미국·호주·동남아 지역에서 사업 개발을 진행 중이다.
올 3월 발표된 정부의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르면 CCS를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 연간 480만t에 달한다. 2050년 국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10억t를 해저에 묻어야 할 전망이다.
명성 SK어스온 사장은 "40년 간의 자원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국책과제에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적합한 후보지를 발굴하는데 노력하겠다"며 "국가적인 CCS 활성화와 이를 통한 탄소감축 활성화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