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LG화학, 미국 내 최대 규모 양극재 공장 첫 삽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2.20 09:15

테네시 소재·2026년부터 양산…연산 6만t급·재생에너지 사용 100%

LG화학

▲19일(현지시각) LG화학 테네시 양극재 착공식에서 (왼쪽 5번째부터) 신학철 부회장과 빌 리 테네시 주지사 등이 시삽을 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LG화학이 미국 최대 양극재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북미 고객사 전용 공장에서 고객사와 개발부터 공급망까지 협력할 계획이다.

LG화학은 테네시주 몽고메리카운티에서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매년 고성능 순수 전기차(EV) 60만대분의 양극재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1단계로 2조원을 들여 연산 6만t급 공장을 조성한다.

테네시 공장은 2026년부터 NCMA 양극재를 생산할 예정이다. 차세대 양극재 제품 등을 통해 포트폴리오도 다변화할 계획이다. 테네시주는 고객사 납품과 원재료 도입을 위한 지리적 접근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열을 가하는 소성 공정 설계 기술을 고도화해 라인당 연산 1만t급 제조 경쟁력도 확보한다. 스마트팩토리 기술로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품질 분석·관리 시스템도 구축한다.

미국 내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와 소재 공급망 협력을 논의하고 태양광·수력 등 100% 재생에너지로 공장을 가동한다는 전략이다.

LG화학은 테네시 공장을 통해 고객사들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전기차 보조금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대응할 방침이다. 전구체의 경우 LG화학과 고려아연의 합작사(한국전구체주식회사·KPC)가 울산에서 생산한 제품을 사용한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테네시 공장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며 북미 1위 양극재 업체로 도약할 것"이라며 "어떠한 환경에도 흔들림 없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안정적인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구축해 세계 최고 종합 전지소재 회사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pero122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