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재생에너지 '역대급' 성장 전망에도…태양광·풍력 관련주는 곤두박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13 13:52
태양광

▲태양광 패널(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각국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은 여전히 맥을 못 추고 있다. 특히 올해는 세계에서 새로 추가되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역대급 수준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음에도 주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어 주목받는다.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상장지수펀드(ETF)인 ‘iShares Global Clean Energy ETF’(티커명 ICLN)는 이날 종가 기준으로 올해 28% 가량 하락했다. 글로벌 상위 100개 재생에너지 기업으로 구성된 ‘S&P 글로벌 청정에너지 지수’의 연 하락률은 30%에 육박한 상황이다.

태양광과 풍력을 대표하는 ETF인 Invesco Solar ETF(티커명 TAN), First Trust Global Wind Energy ETF(티커명 FAN) 또한 올 들어 각각 32.1%, 19.94% 떨어졌다.

국내 재생에너지 관련주도 울상이다. 올 들어 씨에스윈드 주가는 25% 가량 하락했고 한화솔루션 주가는 44% 폭락했다.

같은 기간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14% 가까이 오른 것과 대조적이다. 석유전문매체 오일프라이스닷컴은 "투자자들은 특히 3분기에 기록적인 수준으로 재생에너지 주식을 매도했다"고 꼬집었다.

프린시펄 자산관리의 마틴 프랜드센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재생에너지 주식에 먹구름이 껴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 정부가 세제 혜택, 보조금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적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배경엔 재생에너지 시장이 고금리 환경에 특히 취약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초기에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는데 금리가 오를수록 이를 조달하는 비용이 덩달아 늘어난다.

이런 와중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고금리 장기화 기조를 유지하자 태양광·풍력 업체들의 수익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헷지펀드 D.E. 쇼 그룹에서 재생에너지 투자를 담당하는 데이비드 즈윌링거 최고경영자(CEO)는 금리가 오르면서 태양광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자금조달 비용이 몇 년 전에 비해 30% 증가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의 애널리스트들은 고금리 환경에 따른 글로벌 해상풍력 1위 업체 오스테드의 추가비용만 최대 14억2000만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2023101301000592900029632

▲재생에너지(사진=AP/연합)

재생에너지 비용 증가는 발전단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WSJ가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레벨텐 에너지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 재생에너지 전력구매자들에게 청구되는 비용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두 배 뛴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에만 30% 가까이 급등했다.

소로스 펀드 매니지먼트에서 트레이더로 근무했던 르노드 살루으는 "정부가 메가와트시(MWh)당 30∼40달러가 아닌 80∼100달러를 지급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기 전까지 해상풍력 손실은 장기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업황이 회복되기 위해선 금리인하가 관건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고물가·고금리 시대에서는 재생에너지 사업모델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토벨 자산관리의 데이비드 수카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성장이 지지받기 위해서 대차대조표를 계속 레버리지하거나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야 한다"며 "이 공식은 제로 금리 시대에선 통했지만 고금리 앞에선 무너진다"고 말했다.

즈윌링거 CEO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는 매년 감소세를 이어왔다"며 "금리가 높은 수준에 유지되면 저 수준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 6월 발표한 ‘재생에너지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세계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107기가와트(GW)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역대 최대 증가폭이라고 IEA는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