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시청 전경. 사진제공=양주시 |
양주시농업기술센터는 농업정책과, 기술지원과 등 관련 부서와 지역농협 담당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벼 혹명나방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방제 업무협의회’를 25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관내 벼 혹명나방 피해사항을 공유하고, 피해 확산에 따른 대책을 신속하게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참석자는 △지역농협별 긴급방제 조치사항 △방제약제 선정 △방제방법 논의 등 병해충 피해 발생지 주변 확산 방지를 협의했다.
전춘 농업기술센터소장은 "올해 2회에 걸쳐 벼 병해충 공동방제를 실시하는 등 병해충 방제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며 "이번 벼 혹명나방 긴급방제 및 지속적 예찰을 통해 고품질 양주 쌀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혹명나방은 주로 6~7월 중국에서 유입되는 벼와 관련된 주요 해충으로 성충이 발생하는 시기는 7~8월(1세대), 9월(2세대), 10월(3세대) 등이다. 혹명나방 유충이 갉아 먹은 벼 잎은 하얗게 변하고, 광합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이삭이 잘 여물지 않아 심할 경우 출수 불량, 수량 감소 등으로 이어진다.









![[생산적금융, 리스크와의 전쟁] 금융지주, ‘주주환원·자본부담’ 줄타기](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1.b5e889a01f254790958b84f4cfcdf0c9_T1.jpg)
![[EE칼럼] AI의 심장은 원자력, 원자력의 심장은 인재](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4.f6bc593d4e0842c5b583151fd712dabc_T1.jpg)
![[기고] IAEA, “후쿠시마 처리수, 국제 기준 충족”… 2년간 방류에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7.bad8589379c548c4b1437f9bb814cdc2_T1.jpg)
![[신연수 칼럼] 기후변화 대응, 더는 후퇴하지 말자](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1.d106b5fa7dae4b1b8bb0b2996cdd827a_T1.jpg)
![[이슈&인사이트] 남미의 교훈이 비추는 한국 사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6.09f8484dda394d9fbc22863b5ffdb0ff_T1.jpg)
![[데스크 칼럼] 모니터 속 AI만 버블이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9.63f000256af340e6bf01364139d9435a_T1.jpg)
![[기자의 눈] 부동산정책 성공, 국토균형발전에 달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0.d16f4df5a714462c8a3665d4968cd7a5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