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미국주식] 또 밀린 뉴욕증시, 퀄컴·페이팔↓…애플·아마존 주가는 시간外 엇갈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04 07:58
PAYPAL HOLDINGS-RESULTS/

▲페이팔 로고.로이터/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밀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63p(0.19%) 하락한 3만 5215.89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50p(0.25%) 밀린 4501.89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3.73p(0.10%) 밀린 1만 3959.72로 마쳤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다우지수는 이틀 연속 떨어졌다.

이런 연속 하락에는 앞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강등한 점을 시장이 차익실현 재료로 삼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대다수 전문가는 등급 강등이 미국 금융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은 미국 신용 등급 강등에도 최근 미국 국채를 사들였다며 이번 등급 조정이 미 국채와 달러화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바꾸지는 못한다고 말했다.

이날 10년물 국채금리는 10bp가량 오른 4.18% 근방에서, 30년물 국채금리도 12bp 이상 올라 4.30%에서 거래됐다. 2년물 금리는 보합 수준에서 움직였다.

장기 금리 상승은 투자자들이 장기물 국채를 매도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피치 신용등급 강등과 미 재무부 3분기 1조달러가량 국채 발행 계획, 전날 예상치를 웃돈 ADP 민간 고용 지표 발표, 이날 발표된 생산성 개선 등 소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장기 금리 상승은 미래 수익 가치를 떨어뜨려 성장주 등 기술주에는 부정적이다.

한편, 기업들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다. 다만 전날 장 마감 후 발표된 퀄컴과 페이팔 주가가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다.

퀄컴은 예상치를 웃돈 순이익 발표에도 매출이 예상치를 밑돈 데다 다음 분기 순이익과 매출 전망치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주가가 8% 이상 하락했다.

페이팔도 예상치를 웃돈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했으나, 조정 영업이익률이 당초 회사가 제시한 가이던스를 밑돌았다. 주가는 이에 대한 실망에 12% 이상 떨어졌다.

모더나는 코로나19 관련 매출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예상보다 손실이 줄어들었다는 소식에도 주가는 0.2%가량 하락했다.

이날 장 마감 후 발표된 애플과 아마존 실적을 주목 받았다.

애플은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돈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했으나 아이폰 매출이 예상치에 못 미치면서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2%가량 하락 중이다.

아마존은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돈 데다 다음 분기 전망치도 기대를 웃돌면서 주가는 마감 이후 9% 이상 오르고 있다.

팩트셋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 지수에 상장된 기업의 79%가량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이 중 82%가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혼조세를 보였으나 생산성 개선이 시장 주목을 받았다.

미국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계절 조정 기준 전 분기 대비 3.7% 상승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예상한 2.3% 상승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다. 1분기 생산성은 2.1% 하락에서 1.2% 하락으로 수정됐다.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CG&C)가 발표한 7월 감원 계획은 2만 3697명으로 전월보다 42% 줄었다. 다만 올해 들어 미국 기업들은 48만 1906명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03% 늘어난 것이다.

지난달 29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6000명 증가한 22만 7000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같은 수준으로 5개월 만에 최저치에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미국 7월 서비스업 업황은 확장세를 유지했으나 전보다 부진했다.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미국 7월 비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2.7로 전달 53.9보다 하락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53.3도 밑돌았다.

S&P글로벌의 7월 서비스 PMI도 52.3으로 최종 집계돼 전달 54.4에서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장기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주가가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트 인베스트먼트 어소시에이츠의 브라이스 도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에 "시장에 오버행(누적된 매도 압력이나 잠재적 매물)이 있다"라며 "금리가 위로 오르면서 주가에 압박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캐피톨 증권의 켄트 엥겔케 수석 전략가는 마켓워치에 "주식시장, 특히 나스닥시장은 재무부가 2년 반 만에 처음으로 장기 국채의 분기별 발행 규모를 늘렸다는 소식에 겁을 먹은 것"이라고 말했다.

미 재무부는 지난 31일 3분기에 1조달러 규모 3분기 국채 발행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기존보다 3천억달러 늘어난 것으로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17p(1.06%) 내린 15.92를 기록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