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예상과 달리 장기전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군사용 드론(무인기) 작전 능력 확장을 서둘러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러-우 전쟁을 통해 드론이 현대전의 ‘게임체인저’로 조명받고 있기 때문이다. 드론은 저비용·고효율 무기체계로 적의 주요 군사시설에 대한 정찰·감시뿐만 아니라 폭탄을 탑재하고 적의 무기와 군사기지를 타격할 수 있다.
러시아 통신사 리아 노보스티에 따르면 란셋드론을 생산하고 있는 잘라 에어로(ZALA AERO)가 현재 20만기의 란셋드론을 100만기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러시아의 란셋드론은 현재까지 나토가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다수의 장갑차, 자주포, 보병전투차 등을 격파했으며, 포병전력의 45%를 격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59문의 M777 곡사포, 13대의 M-109 팔라딘 자주포, 14대의 하이마스 발사대, 30대의 자주포 등을 격파했다.
란셋드론은 가격이 3만달러 정도인데 1시간을 비행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110㎞, 타깃을 공격할 때는 300㎞로
내리 꽂는다. 무게는 12㎏에 포탄 5㎏을 탑재 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는 FPV 자폭드론을 하루에 120대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좀더 개량된 자폭드론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드론이 현대전에 필요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무기체계라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공격용 드론과 함께 이를 무력화 시킬 수 있는 ‘안티드론’ 체계도 주목 받고 있다. 이 분야에선 전파방해 경로이탈 유도, 레이저빔 공격, 그물망 포획 등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러-우 전쟁을 예의주시하면서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드론 무기체계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북한 무인기 5대가 우리 영공을 침범하자 드론부대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초 합동드론부대 창설을 지시했다. 합동드론부대 창설과 관련해 강신철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물리적·비물리적 타격자산, 스텔스 무인기 등을 확보해 통합 운용하겠다"면서 "적의 무인기를 타격할 수 있는 필수 자산을 신속히 획득하고 기존 전략화 추진중인 장비의 도입시기도 최대한 단축하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안티드론’ 무기체계는 국내 기술로 구축해 나갈 수 있지만 공격용 드론 개발은 그렇지 못하다는데 있다. 한화시스템은 드론 감시 레이더 기술 개발을 2021년 12월 마무리하고 기존 방공망으로 탐지가 불가능한 저속·저고도 소형 드론을 정확하게 탐지해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했다. 또한 미국 포르템 테크놀로지와 불법, 테러용 드론을 추적해 그물망을 포획할 수 있는 ‘안티드론’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LIG넥스원 역시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 기술력에선 실력발휘를 하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추진하는 ‘대드론 방호시스템 구축사업’에 사업자로 선정됐다. LIG넥스원은 이에 머물지 않고 최근 공격용 드론인 ‘소형 정찰·타격 복합형 드론’을 선보였다. 이 복합드론은 수직이착륙형으로 자폭 공격이 가능하고, 레이저 거리 지시기를 활용해 정밀타격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공격용 드론 자체 생산에는 많은 제약을 갖고 있다. 이 분야를 체계적으로 육성하지 못해 드론 제작에 필요한 다수의 부품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미·중 패권경쟁이 격화되면서 미국은 중국에서 생산되는 조정기, 통신장비, 지상관제시스템, 센서, 짐벌, 데이터저장장치 등 9개 부품 사용금지를 명시했다. 대한민국의 안보와 방산업체들의 경쟁력 강화 두 가지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실사구시’의 자세로 한국적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드론 무기체계 구축 로드맵을 만들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