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공시가 단계적으로 의무화되는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이 ESG 경영에 힘을 주고 있다. 전통적인 게임업계에서는 올해도 엔씨소프트만 유일하게 종합 A등급을 획득한 상황. 특히 국내 게임사들이 환경(E) 분야에서 대부분 애를 먹고 있는 가운데, 엔씨소프트는 B+를 받아 눈길을 끈다.
◇ 게임업계 ESG경영 강화 바람…‘환경’이 걸림돌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게임사들이 잇달아 지속경영가능보고서를 발표하는 등 ESG 경영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당장 오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의 코스피(KOSPI) 상장사는 ESG 공시 의무를 지게 되는데, 국내 증시에 상장된 게임사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현재 게임업계에서 코스피에 상장된 게임사는 엔씨소프트와 넷마블, 크래프톤 정도다.
이중 일찌감치 대비해온 엔씨소프트는 한국ESG기준원 평가에서 지난해 기준 종합 A 등급을 획득했고, 넷마블은 종합 B등급을 획득했다. 크래프톤의 경우 아직까지 한국ESG기준원 평가를 받지 않았다. 다만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올해 초 크래프톤의 첫 ESG 등급을 BB로 매겼다. 이는 MSCI 지수에 편입된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분야 기업 중 중위권 수준으로, 엔씨소프트(A)나 넷마블(BBB)보다는 낮고, 카카오게임즈(BB)와는 같은 수준이다.
게임업계 ESG 경영 상황을 종합해보면 주로 ‘환경’ 부문에서 발목이 잡혔다. 가장 종합등급이 높은 엔씨소프트도 환경 분야에선 B+를 받았고, 위메이드는 B 등급을 받았다. 그밖에 넷마블과 펄어비스, 컴투스는 C등급을, 카카오게임즈와 데브시스터즈, 더블유게임즈, 웹젠, 네오위즈 등은 D등급을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소모량이 많아 온실가스 배출량이 타 업종 대비 높은 편"이라며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이상이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 엔씨소프트 환경 경영 비결
완벽하다고 하긴 어렵지만, 엔씨소프트는 환경 분야에서도 우등생에 속한다. 엔씨소프트는 국내 게임사 중 가장 먼저 ESG 경영위원회를 설립하고, 친환경 경영 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4명의 최고경영진으로 구성된 ESG 경영위원회는 주요한 환경경영 계획과 성과에 대해 관리 감독하고 의사결정을 진행한다. 특히 올해는 이사회 내 환경경영 관련 전문성 강화를 위해 환경 및 생물다양성 분야 전문가인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엔씨소프트는 오피스 및 데이터센터 등에 에너지효율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게임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해 적용하고 있다. 2027년 준공 예정인 신사옥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재생에너지 도입 등에 초점을 맞춘 친환경 건축물로 계획하고 있다.
윤송이 엔씨소프트 ESG경영위원장은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 데이터의 관리 체계를 자회사로 확대하고, 사옥 및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는 등 환경경영에서도 한 걸음씩 진정성 있게 실천하도록 하겠다"며 "사회구성원으로서 미래세대의 성장과 지역사회 발전에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우리 사회의 질적 도약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