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장고 끝에 이래경 위원장을 임명했던 이재명 대표 리더십에 대한 논란을 넘어 비이재명(비명)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다시 ‘이재명 사퇴론’까지 나왔다.
이낙연 전 대표의 오는 24일 귀국과 맞물리면서 그 파장의 확대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친이재명(친명)계 대응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 총선을 앞둔 당내 계파 간 힘 겨루기가 격화하는 모양새다.
대표 비명계 이상민 의원은 7일 이재명 대표 지명 혁신위원장이 논란으로 사퇴한 것을 두고 이 대표의 리더십 한계를 지적하며 퇴진을 공식 요구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혁신위원장 인선이 이런 식으로 검증도 되지 않은 것은 이재명 대표 체제의 본질적 결함"이라며 "이 대표가 하루라도 빨리 사퇴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혁신위 자체도 처음부터 이렇게 돼서 그 리더십이 발휘가 될까(의문이다)"라며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 쪽부터 자신의 결함을 안고 출발을 했고 그 이후 여러 가지 리더십을 발휘하는 중요 대목에서 제대로 발휘도 못 했다. 그게 이 대표의 결함과 한계이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려면 이 대표가 스스로 퇴진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박광온 원내대표 체제로의 전환을 촉구하며 이낙연 전 대표가 귀국하면 당내 분란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 의원은 이 전 대표의 귀국으로 인한 갈등과 분열 양상을 묻는 질문에 대해 "그럴 가능성도 부인할 순 없다"며 "그러나 이 대표가 용기를 내서 스스로 퇴진하는 길을 걷게 되면 내부 분열이나 갈등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지혜와 역량을 모으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또 다른 비명계 김종민 의원도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혁신위원장 인선을 보면 혁신을 지난 1년 동안의 ‘이재명의 민주당’, 이 대표를 지지하는 팬덤 지지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혁신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성 지지층의 지지는 더 강화될 수 있지만 국민의 일반 여론이나 중도층, 더 넓은 국민 지지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이 임명한 이래경 혁신위원장이 ‘천안암 자폭’ 발언 논란 등으로 9시간 만에 사퇴한 것과 관련해 "결과에 대해서는 무한 책임을 지는 것이 당 대표가 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 대표가 권한을 가진 만큼 내부 논의를 충분히 했든 안 했든, 충분히 다 논의하고 하는 일"이라며 "당에서 벌어진 일에 대해서 당 대표가 언제나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대표는 ‘어떤 방식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인가’, ‘사과할 계획이 있느냐’, ‘거취 문제를 얘기하는 것인가’,‘ 권칠승 수석대변인에 대한 조치가 있느냐’ 등 질문에는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이 대표는 앞서 지난 5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혁신기구를 맡아 이끌 책임자로 이래경 이사장을 임명했다.
그러나 이사장의 임명 발표와 동시에 ‘천안함 자폭설’, ‘코로나 미국 기원설’ 등의 음모론 발언들이 논란에 휩싸이기 시작하면서 이 이사장은 임명된 당일 저녁 자진사퇴했다.
이에 이 대표와 친명 지도부 등은 ‘부실 검증’의 비판을 떠안게 됐다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
혁신위원장 인선을 두고 지도부와 충분한 논의를 하지 않고 일방적인 통보 방식을 택한 것으로 알려진 점도 비판의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이 이사장은 자진 사퇴하고 자신의 과거 발언에 대해 해명했지만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정치권은 관측했다.
특히 이 이사장이 이 대표를 공개지지했던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비명계를 중심으로 혁신기구마저 계파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 대표는 당초 비명계의 요구를 수용해 당 화합 차원에서 혁신위원장의 외부 영입을 추진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 대표가 친명 성향을 가진 이 이사장을 지명한 것을 놓고 당 장악력을 놓지 않으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결국 이 대표 체제에 대한 비명계의 불신만 높인 상황이라는 것이다.
비명계의 공세가 강해질수록 친명계의 맞대응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내년 총선을 채 1년도 앞두지 않은 상황에서 친명과 비명계간의 힘 겨루기로 내홍은 갈수록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혁신위원장의 낙마가 계파 갈등의 불씨가 된 상황에서 정치권에서는 12일 열리는 의원총회를 주목하고 있다.
비명계는 이번 의총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이 대표의 사과를 비롯해 이번 인선에 관여한 이 대표 체제 지도부에 대해 사퇴 압박의 수위를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