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1일 오전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청년도약계좌 운영 사전 점검회의에서 6월 중 운영 개시를 앞둔 청년도약계좌의 준비상황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 및 관계기관에 당부를 전달했다.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5년간 월 70만원씩 적금을 부어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한다는 취지의 청년도약계좌가 이달 출시되는 가운데 은행권의 금리 수준에 관심이 집중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12개 은행은 이달 8일 오전 10시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1차로 게시한다.
은행들은 1차 사전 공시를 통해 금리 비교, 조정 과정 등을 거쳐 12일 최종 금리를 발표한다.
금리는 은행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구조로, 6% 수준의 금리가 책정될 경우 당초 정부가 제시한 시나리오가 무리없이 달성될 것으로 보인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월 최대 2만4000원의 지원금을 더해 5000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도 제공된다. 가입 대상은 만 19~34세 가운데 개인소득 기준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저소득층 청년에는 우대금리를 부여한다. 이달부터 취급기관 앱을 통해 가입신청을 받아 개인소득, 가구소득을 비대면으로 실시한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에서 청년층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만들어주겠다며 약속한 정책형 금융상품이다.
다만 은행권 입장에서는 금리 인상기가 끝났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지나치게 높은 금리를 설정할 경우 역마진 우려 등이 제기될 수 있어 부담이다.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 출시 초기 청년 약 300만명이 가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은행들이 제시하는 금리 수준에 따라 흥행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또 취업, 결혼, 이사 등 지출 변수가 많은 청년층의 중도 해지를 막는 것도 관건이다.
실제 문재인 정부가 청년층을 대상으로 내놓은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 역시 작년 2월 출시 당시 286만8000명이 가입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기준 적금 유지자는 241만여명으로 급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