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2차전지 하락·SG 사태 등에 거래대금 급감…증시 상승세 이어질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06 09:31
2023060601000222700011301

▲투자자(사진=에너지경제DB)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지난달 한국 증시는 올랐지만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사태 등의 여파로 거래대금은 급감했다. 거래대금 회복세는 아직 눈에 띄지 않지만 증시에 우호적인 여건이 형성돼 이달에도 상승랠리가 지속될지 주목된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18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4월 일평균 증시 거래대금이 26조 4000억원 수준인 것과 비교해 31.67% 줄어든 수치다.

지난달 코스피는 2577.12에 마치며 한 달간 3.02%, 코스닥지수는 856.94에 마감해 1.67% 올랐으나 거래대금은 줄어 투자에 활력이 빠진 셈이다.

시장별로 보면 코스피 거래대금이 12조6000억원에서 9조1000억원으로 27.45% 감소했고, 코스닥시장의 경우 13조8000억원에서 8조9000억원으로 35.50% 쪼그라들었다.

이는 지난 4월 말 터진 SG증권발 폭락사태가 차액결제거래(CFD)와 연관된 주가 조작 사건으로 번지면서 일부 증권사에 대한 압수수색이 진행되는 등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또 올들어 주가 폭등으로 증시를 주도했던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 2차전지 종목들이 주가 조정을 겪으면서 이들 업종의 주요 매수 세력인 개인들이 투자 동력을 잃기도 했다.

일평균 회전율 역시 코스피는 지난 4월 0.63%에서 지난달 0.45%로, 코스닥시장의 경우 3.32%에서 2.22%로 하락했다. 회전율은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의 비율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투자자 간 거래(손바뀜)가 자주 일어났다는 의미다.

이달 들어 일평균 증시 거래대금은 16조원대 수준으로 뚜렷한 증가세는 나타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지난 2일 코스피가 약 1년 만에 2600선을 돌파하면서 증시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그간 주춤했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형주들이 최근 가파른 주가 상승세를 연출하면서 증시 주도주 역할을 되찾은 것도 투자심리 개선을 북돋우고 있다.

증시 대기성 자금 성격인 투자자예탁금 규모도 회복되는 추세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 계좌에 맡겨두거나 주식을 팔고서 찾지 않은 돈으로, 주식투자 열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52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말 53조원을 웃돌았던 투자자예탁금은 지난달 중순 48조원대까지 줄어들었으나 우호적인 투자 여건이 형성되고 있다는 인식에 재차 불어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인 국내 증시가 향후 우상향하며 상승장을 그릴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지난해 9월 말 종가 기준 저점인 2155.49와 대비해 이달 2일 2601.36으로 마쳐 20.7% 상승했다"며 "종가 기준 저점 대비 20% 상승이라는, 소위 강세장의 기준을 만족했다"고 연합뉴스를 통해 설명했다.

이어 "CFD 이슈 이후 신용융자 잔고는 늘지 않지만,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은 증가하고 있어 차익 실현 흐름이 발생하더라도 낙폭을 제한할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