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제무역센터(ITC) 통계 자료를 토대로 2018년과 지난해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내 주요 국가 점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대만의 점유율은 9.5%에서 19.2%로 9.7%포인트 상승하고 점유율 순위 또한 기존 4위에서 1위에 올랐다. 또한 베트남은 2018년 점유율 2.5%로 8위에 그쳤지만 지난해 9.8%의 점유율로 5위를 차지했다.
반면 중국은 20여 년 넘게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한 2018년 30.2%에서 3분의 1 수준인 11.7%로 떨어졌다. 점유율 순위 역시 1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우리나라의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 순위는 2018년과 2022년 모두 3위로 변동이 없었다. 다만 10.8%였던 점유율은 12.6%로 1.8%포인트 소폭 상승하는 데 머물렀다.
전경련은 이와 관련해 대만과 베트남이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 입지 약화에 따른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의 대(對)중국 수입액은 4년 새 96억7000만달러 감소한 반면, 대만과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액은 75억6000만달러, 35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그 결과 해당 부품 분야에서 중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15%포인트 하락했고, 대만과 베트남의 점유율은 각각 6.8%포인트, 3.5%포인트 상승했다.
두 국가는 미국 내에서 급속도로 성장하는 품목에 집중적으로 입지를 강화해 점유율 확대를 꾀했다. 미국의 ‘기타 전자 집적회로’ 품목의 수입은 4년 새 77%(85억3000만달러→151억3000만달러) 늘었는데, 이중 대만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19%(18억4000만달러→40억3000만달러) 늘었다.
‘LED 및 태양전지·태양광 모듈 등’ 품목의 수입 역시 4년 새 135%(56억1000만달러→131억6000만달러) 증가한 가운데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액은 874%(3억9000만달러→38억달러) 증가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