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 마련된 2030 부산세계박람회(EXPO) 유치 기원 점등식을 마친 뒤 박람회 유치에 나선 기아차 부스를 방문해 출시 예정인 전기차 EV9 GT를 살펴보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미국 정부가 오는 2032년까지 자국 내 판매되는 신차의 67%를 전기차로 채우도록 하는 규제안을 발표함에 따라 국내 배터리와 관련 소재 업계는 시장 확대로 인한 수요 증가 가능성을 점치며 장밋빛 전망을 그리고 있다. 반면 완성차 업계는 생산 역량 및 다양한 변수 등으로 ‘기대 반 우려 반’의 복잡한 심경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전날 차량의 이산화탄소와 각종 오염물질 배출 허용량을 6년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이 담긴 차량 배출기준 강화안을 발표했다. 이에 EPA는 2032년에는 전기차가 전체 차량의 6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준을 맞추려면 내연기관차 기술 개선으로는 한계가 있어 전기차 판매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승용차 신차의 전기차 비중 5.8%를 10년 안에 10배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미국의 이러한 발표에 국내 배터리 업체와 양극재 등 소재 업체들은 반가운 기색이다. 특히 일부 배터리 관련 업체들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현지 공장을 세우는 상황에서 이번 규제로 전기차 판매 증가가 기정사실화됨에 따라 이익 증대도 기대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전기차 시장 확대가 사실상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다. 중장기적으로 바라보면 전기차에 투입될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로선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전기차 비중 확대가 사실상 확정되면 배터리 수요도 늘어나게 된다. 미국 현지에 투자하거나 북미를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한 업체들이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배터리 소재 부문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도 이번 규제안이 소재에 대한 수요도 이끄는 만큼 희소식이라는 입장이다. 석화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 시장 내에서 전기차 전환이 가속화 되는 흐름이다. 북미 시장에서 한국의 배터리·양극재 업체들이 두각을 드러내는 상황인 만큼, 국내 해당 기업들 입장에선 우위를 다진다는 의미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배터리와 달리 완성차업계의 온도는 차갑다. 당장 기준 달성 자체가 쉽지 않은데다 생산 역량과 현지 시장 수요 등 여러 변수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와 연계된 IRA에 어떻게 대응할지 여부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현대자동차·기아의 작년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은 3.9%였다. 양사는 2030년까지 해당 비중을 각각 58%, 47%로 높인다는 내부 목표를 수립한 상태다. 이번 미국 규제안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