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지방민 71.2% "올해 우리 지역 경제,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11 06:48

전경련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설문조사 결과
지방민 20대 64.4% 일자리 여건 등 이유로 '수도권 이주 희망'

전경련

▲전경련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설문조사 결과. 자료=전경련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수도권 외 지역에 거주하는 국민 10명 중 7명이 올해 거주지 경기 수준이 지난해 대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외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설문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방민의 71.2%는 올해 지역경제가 지난해보다 나빠질 것이라 응답했다. 올해 체감 경기 수준은 지난해 82.5%에 그쳤다.

지역별 체감 경기 수준(전년 대비)은 광주 77.8%·전북 78.2%·충북 79.8%·부산 80.4%·전남 80.5%·제주 80.7%·대구 81.4%·경북 82.2% 지역 등에서 전체 평균보다 낮게 형성됐다.

지방민의 72.0%는 올해 지역 일자리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체감 일자리 수준은 지난해 82.5%에 불과했다. 또한 지방민의 49.4%는 거주지역이 소멸(경제위축과 고령화 등으로 지역 기능 상실)할 것이라 전망했고, 이 중 64.0%는 20년 이내 소멸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 소멸 가능성에 대한 지역별 응답은 다소 엇갈렸다. 경북·전북·울산·전남·강원·대구는 지역이 소멸할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반면 부산·제주·대전·충북·경남·충남·광주·세종에서는 지역 소멸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봤다.

지방민의 41.1%는 미래에 거주지를 떠나 수도권으로 이주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세대별로는 20대(64.4%), 30대(41.7%), 40대(39.2%), 50대(36.1%), 60대 이상(28.3%) 순이었다.

이주를 희망하는 주요 이유로는 열악한 일자리 여건(47.4%), 문화·휴식시설의 부족(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20.4%) 등이 꼽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며 "관광산업 활성화와 함께 지역의 성장동력 발굴이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lsj@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