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진솔

jinsol@ekn.kr

이진솔기자 기사모음




LG이노텍, 2세대 자율주행용 통신모듈 개발…전장 시장공략 속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29 10:40

차와 사물간 데이터 송수신 지원하는 ’5G-V2X’
다운로드 속도 4배↑…부품 크기 20% 소형화

1111

▲LG이노텍은 차량과 사물간(V2X)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개선한 퀄컴칩 기반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이진솔 기자] LG이노텍은 차량과 사물간(V2X)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개선한 퀄컴칩 기반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5세대(5G)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제품 개발로 LG이노텍은 자율주행차 부품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신제품은 5G 이동통신 기술로 차량과 차량(V2V), 보행자(V2P), 인프라(V2I)간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부품이다.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기술로 꼽힌다. 통신용 칩과 메모리, 무선주파수(RF)회로 등을 결합한 모듈 형태로 인근 기지국에서 주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LG이노텍은 지난 2019년 출시한 1세대 차량용 5G 통신모듈과 견줘 신제품 V2X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를 4배 이상 빨라진 150Mbps까지 높였다. 자율주행이 구현되려면 실시간 도로 상황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빠른 데이터 송수신 기술이 필수적이다.

LG이노텍은 직사광선·발열 등으로 인한 고주파 5G 신호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도 제어 알고리즘을 고도화했다. 신제품은 90℃에서 온전한 품질을 유지하는 5G 차량통신을 제공한다. 내구성 강화로 1.5km에 달하는 원거리 차량·사물간 통신 커버리지도 5G망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신제품은 기존 제품과 비교해 크기를 최대 20% 줄였다. 일반 신용카드 절반 크기(46㎜x50㎜)로 차량 어디든 장착이 편리하다. 부품 크기를 줄이면서 고집적, 초정밀 기술을 활용해 통신칩, 메모리 등 5G 통신을 위한 800여개 부품을 한데 모았다. 480여개 부품을 담고 있던 1세대 모듈보다 탑재한 부품 수는 60% 늘었다.

세계 이동통신표준화기술협력기구(3GPP)가 내놓은 최신 5G 표준(3GPP Release 16)을 적용해 국가나 지형, 차종과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높은 호환성으로 자율주행 부품 고객 확보에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이노텍은 오는 2025년까지 2세대 5G-V2X 통신모듈 상용화를 목표로 국내와 유럽, 미국, 일본 완성차와 차량 전장 부품사를 대상으로 프로모션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유병국 LG이노텍 전장부품사업부장은 "2세대 5G-V2X 통신모듈은 자동차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여는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LG이노텍은 ‘미래차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차량 전장 혁신 제품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jinso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