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현대글로비스, GS에너지 손잡고 ‘청정 암모니아·수소’ 시장 공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27 11:26

친환경 사업관련 MOU··· 해상운송 및 생산 인프라 구축 협약



‘수소원료’ 암모니아 운반 경쟁력 확보…초대형 가스운반선 2척 건조 중

ㅇ

▲최근 서울 성동구 현대글로비스 사옥에서 열린 ‘청정 수소, 암모니아 및 친환경 에너지 사업 협약식’에서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오른쪽)와 김성원 GS에너지 부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글로비스는 GS에너지와 ‘청정 수소·암모니아 및 친환경 에너지 사업 협약식(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서울 성동구 현대글로비스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와 김성원 GS에너지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양사가 추진하는 청정 암모니아·수소 사업 전반에 대한 해상운송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GS에너지는 암모니아·수소 생산 및 관련 수입 터미널 구축을 담당한다. 양사는 공동투자 및 수요처 개발을 위한 협력도 병행하기로 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해상운송 역량을 앞세워 친환경 가스운반 시장 선점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앞서 2000억원을 투자,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2척을 건조 중이다. 해당 선박은 한 척당 적재 규모가 8만6000㎥다. 내년 인도 후 글로벌 해상운송 시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현대글로비스의 VLGC는 화물창을 특수 재질로 제작해 LPG는 물론 암모니아까지 운송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암모니아를 선적할 수 있는 VLGC는 20여척내외(VLGC 전체 선대의 10% 이하)로 알려져 있다.

현대글로비스가 암모니아 운송에 주목하는 건 액화수소 운반법의 대안으로 제시되기 때문이다. 수소의 운송과 저장을 위해서는 기체 상태의 수소를 액체로 바꿔야 한다. 기체수소는 운송 용량이 제한적이고, 액화수소(영하 253도 극저온 조건에서 액체 상태인 수소) 방식은 저장 밀도가 낮고 아직 상용화 되지 않았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암모니아다. 수소에 질소를 결합시키면 암모니아가 된다. 이 암모니아 형태로 해상 운송을 하고 수요처에서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암모니아는 액화수소와 달리 비교적 쉽게 액화(영하33도) 하며 단위 부피당 1.7배 수소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대 흐름 속에서 글로벌 선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며 "GS에너지와의 협업을 통해 친환경 사업 영역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