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모습. |
봄철에 일조량 증가로 태양광 발전량이 지나치게 많아지자 전력계통망 안정을 위해 이를 조절하겠다는 의미다.
전력을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전달하는 전력계통망에 지나치게 전력이 많이 유입되면 시설 고장으로 정전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해가 지면서 태양광 전력이 갑자기 줄어드는 것도 전력계통망에 부담을 주고 전력수급에 문제를 일으킨다.
23일 전력당국에 따르면 전력거래소는 오는 28일 전남 광주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봄철 전력수급 운영방안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해당 설명회에 대해 "사업자를 대상으로 봄철 출력제어 안내가 주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제주도에서 이미 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조치를 육지에서도 처음으로 계획안을 세우고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2021년 3월 전남 신안군에 위치한 태양광에 출력제어가 세 차례 있었다. 당시에는 발전소의 전력을 전력망으로 내보내는 변전소의 문제가 있어 출력제어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출력제어 예고는 호남권의 전체 전력망 안정을 위해 마련된 계획으로 실시된다.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전체 보급량 29.8기가와트(GW) 중 3분의 1인 10.2GW가 호남권에 설치됐다.
지금까지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는 ‘재생에너지 도시’로 알려진 제주도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상반기 동안 총 80건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제주도서 발생했다.
제주도에서는 재생에너지가 도내 전체 발전설비 용량의 약 66%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봄철을 앞두고 기존 여름·겨울철 전력피크시기에만 발표했던 전력수급 대책을 올해 봄철에 처음 마련해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지난 21일 알렸다.
산업부 관계자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급격한 증가에 따라 계통제약·설비고장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발전기 출력 감발 등 계통망과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는 출력제어에 불만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받은 만큼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니 수익이 그만큼 줄게 된다.
이같은 사업자 불만에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10월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보상 근거 내용을 남은 ‘전기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아직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