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태양광발전협회가 지난해 6월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전력거래가격 상한에 관한 고시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
정권이 교체되면서 태양광 사업이 푸대접을 받는 모습이다. 업계는 태양광 ‘말살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전력판매가격도 입찰 상한가 하향으로 하락하게 됐다.
□ 상반기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주요 변경 내용
입찰물량 2000MW→1000MW |
입찰상한가1MWh당 16만603원→15만3494원 |
규모별로 4개 구간으로 분류했던 입찰구간 하나로 통합 |
입찰용량이 모집용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부적격 설비를 제외한 입찰용량을 기준으로 경쟁률이 1.1 대 1 이 되도록 최종 선정용량 결정 |
현물시장에 오래 참여한 발전소일수록 입찰점수 하락 |
8일 홍기웅 전국태양광발전협회 회장은 "태양광 시공업체·발전사업자들이 이번 입찰은 소규모 태양광 말살정책이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대한태양광발전사업자협회와 연대해 이달 중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고정가격계약 관련해 간담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양광 고정가격계약은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이 한국에너지공단 중개로 전력거래소, 발전공기업과 20년간 고정된 가격으로 전력판매계약을 맺는 것이다.
20년 전력판매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어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거래 방식으로 꼽힌다. 고정가격계약이 아니면 가격 변동성이 있는 현물시장에서 거래해야 한다.
지난 7일 에너지공단은 올해 상반기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입찰 공고를 냈다. 입찰 모집 물량은 총 1000메가와트(MW)로 지난해 상반기 2000MW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상한가격은 1MWh당 16만603원으로 같은 기간 15만3494원 대비 7109원(4.4%) 줄었다.
전태협에 따르면 사업자들은 이번 태양광 고정가격 입찰물량과 상한가격 하향 등에 불만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하반기 태양광 고정가격계약을 넘기고 9개월 만에 공고가 나왔지만 물량이 대폭 줄어서 놀라는 분위기다.
용량별 입찰구간을 나누지 않아 소규모와 대규모 태양광끼리 가격 경쟁을 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소규모 태양광은 대규모 태양광보다 용량 단위당 설치비용이 더 나올 수 있어 가격 경쟁에서 불리하다고 보고 있다.
정부가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입찰이 미달 나도 경쟁률을 1.1대 1로 맞추겠다고 밝힌 점도 꼼수라고 지적했다.
전태협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 입찰선 미달되자 이번 입찰은 미달 사태를 막겠다는 꼼수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올해 상반기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입찰물량 1000MW에서 900MW가 지원했다면 900MW를 모두 받겠다는 게 아니라 810MW 정도만 받겠다는 의미다.
지원용량 900MW에 810MW만 입찰을 받아야 경쟁률 1.1대1을 맞출 수 있어서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