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아름

beauty@ekn.kr

김아름기자 기사모음




포스코홀딩스가 북미로 눈 돌린 이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4 11:00

호주 진달리리소스사와 미국 점토 리튬 프로젝트 추진



점토 리튬 프로젝트 경제성 확인시 IRA 혜택 가능성도 높아져



포스코홀딩스 "장기적으로 리튬 사업 확대해 나갈 것"

최정우3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리튬 확보를 위해 북미 지역으로 눈을 돌렸다. 최근 북미 등에서 점토 리튬의 대규모 매장량이 보고 되면서 기술력 향상과 추가 탐사에 따라 그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해 향후 리튬 자원의 새로운 원천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호주 진달리리소스(Jindalee Resources)사와 업무협약을 체결, 미국에서 점토 리튬 사업을 추진한다. 진달리리소스사는 호주 퍼스에 본사를 둔 광물 탐사 및 개발 전문회사로 미국 서부 오리건주(州)와 네바다주 경계에 위치한 맥더밋(McDermitt) 점토 리튬 프로젝트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진달리리소스사는 미국 현지에서 탐사 중인 광구에서 점토 리튬을 시추해 제공하고, 포스코홀딩스는 이를 활용해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와 공동으로 최적 리튬추출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성 검토를 진행한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010년부터 RIST와 염수와 광석, 폐배터리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지금은 광양과 아르헨티나의 데모플랜트 운영을 통해 확보한 리튬 생산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재 상용 플랜트를 건설 중에 있다. 연 4만3000t 규모의 광양 리튬 공장은 올해 말 완공을 앞두고 있고, 각각 2만5000t 규모의 아르헨티나 리튬 공장도 2024년과 2025년 순차적으로 완공될 전망이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점토 리튬 추출 공정의 상용화 가능성 확인 시 본격적으로 맥더밋 프로젝트 공동투자를 포함한 사업협력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점토 리튬 개발에 성공하면 비전통 리튬 자원 개발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으로 북미 지역에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는 상황에, 이번 포스코홀딩스와 진달리리소스사의 맥더밋 점토 리튬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확인돼 미국 내 투자로 이어질 경우 IRA 혜택과 함께 리튬 사업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전망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북미 진출 외에도 지속적으로 리튬 사업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자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리튬 추출 기술력과 조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북미 지역 점토 리튬을 포함해 유전 염수, 지열 염수 등 차세대 리튬 자원에 대해서도 장기적인 관점의 연구개발과 투자 검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