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워싱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 본부(사진=AFP/연합뉴스). |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FOMC 위원 연례 순환 교체 제도로 내년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와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에스터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가 FOMC에서 빠지게 된다. 이들 모두 매파(통화긴축 선호)로 분류된다.
중도파로 여겨지는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도 내년에 FOMC 투표권을 잃는다.
FOMC 위원은 총 12명으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등 연준 이사 7명과 뉴욕 연은 총재 등 8명이 고정으로 참여한다. 나머지 4명은 뉴욕만 제외한 11개 지역 연은을 4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연은 총재 1명씩 1년마다 교대로 맡는 방식이다.
내년에 빠지는 4명 대신 FOMC 투표권을 얻을 위원은 비둘기파로 추정되는 오스탄 굴스비 신임 시카고 연은 총재, 중도파로 추정되는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와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강경 매파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다.
매파 3명, 중도파 1명이 나간 자리를 비둘기파 1명, 중도파 2명, 매파 1명이 메우기 때문에 매파는 2명 줄고 비둘기파와 중도파는 1명씩 느는 셈이다.
FOMC 구성이 이렇게 변하면 내년 8차례 FOMC 정례회의에서 완전 고용을 중시하는 비둘기파의 비중은 더 늘 수밖에 없다. 그러나 비둘기파 위원이 늘어도 현재 연준 내 비둘기파와 매파 사이에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한 정책적 견해는 별 차이가 별로 없다. 따라서 초기에는 그 영향을 바로 알기 어려울 수도 있다.
게다가 파월 의장이 수십년만에 가장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을 별 반대 없이 이끈데다 강력한 통제력까지 행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