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2023 금융] 금융사, '리스크 관리' 화두...사회적 책임감 커진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1.01 10:26

성장률 1%대 전망, 금리인상은 지속

차주들 부담 증가…기업들도 시름



부실 우려 급증 위험…"리스크 관리 만전"

"취약차주 지원 등 사회적 역할 강화"

2022122101001053400045162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NH농협금융지주.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2023년 금융권에는 리스크 관리가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대내외 경기가 악화하는 가운데 금리 인상이 지속되면서 개인·기업 차주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금융사들은 어느 때보다 리스크 관리에 주력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금융의 사회적 책임이 부각되면서 금융사들은 취약차주 지원 등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금융소비자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의 비대면화 속에 금융 소외층이 더 많아질 수 있는 만큼 금융사들은 금융당국의 기조에 맞춰 더욱 세밀한 지원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 저성장에 금리인상은 지속…금융사 "리스크 관리 강화"


올해 금융사들은 몸집 확대보다는 내실 경영과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경기를 낙관적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1.7% 수준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이룰 수 있는 경제성장률)인 2% 수준보다도 낮을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경제성장률이 2%를 하회하게 된다면 이는 1980년 석유 파동(-1.7%), 1998년 IMF 외환위기(-5.1%), 2009년 금융위기(0.8%), 2020년 코로나19 유행(-0.9%) 이후 5번째다.

우리나라가 1%대의 저성장의 늪에 빠질 것이란 전망 속에서도 금리인상은 지속될 예정이다. 국내의 소비자물가 수준이 여전히 5%를 웃돌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높은 수준까지 금리를 올릴 것이란 신호를 꾸준히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점도표에서 올해 최종금리 수준을 5~5.25%(중간값 5.1%)로 예상했다. 기존의 중간값 4.6%보다 0.5%포인트 더 상승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연 3.25%까지 높아져 미국의 정책금리(4.25∼4.5%)와 상단이 1.25%포인트 차이가 난다. 한은은 이번 금리인상기의 최종금리를 연 3.5% 수준으로 예상했지만,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종금리 수준이 이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 총재는 지난달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11월 금통위 당시 다수의 금통위원이 이번 금리인상기 최종금리 수준을 3.5%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으나, 이는 시장과 소통을 위한 것이지 정책 약속은 아니었다"며 "경제 상황이 바뀌면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2022122101001053400045161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상가 건물이 비어 있다. 연합뉴스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불확실한 경기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차주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개인은 물론 기업들도 받는 타격이 크다. 기업대출은 변동금리 비중이 높아 금리 인상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지난해 기업대출 평균 금리는 5%를 넘어서며 10년 내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나빠지는 경기 상황에 소비 위축 등이 발생하면 중소기업이나 개인사업자들이 더욱 큰 충격을 받아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처럼 낙관할 수 없는 경제 상황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금융사들은 리스크 관리를 올해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다. 금융지주의 한 관계자는 "경제 상황이 워낙 불확실하다 보니 무엇보다 리스크관리에 방점을 둘 것"이라며 "금융사들은 몸집을 키우기 보다는 내실 경영을 강화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감소로 인해 기업대출로 눈을 돌리고 있어 리스크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경기가 안 좋아지면 기업들, 특히 개인사업자들은 운영자금 마련 등을 위해 더 많이 은행을 찾게 된다"며 "은행 입장에서도 부실 위험이 더 커지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대출을 확대하면서도 철저한 모니터링 등을 통해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사회적 책임’ 비중 커져…‘디지털 강화’도 핵심

금융사들은 올해 사회적 역할에도 더욱 힘을 쏟을 전망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취약차주 지원과 함께 갑작스럽게 발생한 자금시장 경색 완화 등을 위해 금융사들이 두 팔을 걷어붙이고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실제 금융사들은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취약차주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했고,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지주 등 5대 금융지주사들은 시장안정을 위해 지난해 연말까지 95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정부 요구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도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금융사들이 직접 나서줄 것을 기대하는 금융당국의 주문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사들 또한 수익 창출만이 목적이 아닌 금융사의 존재의 이유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란 인식을 공유하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 정책에 발 맞춰 사회적 가치 창출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사들이 ESG(환경·사회·거버넌스)경영을 강화하는 것 또한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한 취지"라며 "올해도 ESG 경영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금융당국의 기조에 맞게 협력하면서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이나 취약차주 등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도 빼놓을 수 없는 올해 주요 추진 과제다. 비대면 가속화에 따라 금융사들은 비대면 플랫폼을 강화하고 금융사의 전사적인 디지털 전환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정부가 규제 완화를 통해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를 적극 밀어주기로 하면서 금융권은 전환기를 맞이한 상태다. 앞으로 금융지주사들은 은행을 비롯해 증권, 보험사, 카드사 등 계열사를 통합한 플랫폼 구축에 공을 들이면서 디지털 전쟁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사활을 걸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금융은 올해 여름 계열사의 주요 서비스를 담은 ‘신한유니버설간편앱’을 출시할 것을 예고한 상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사들은 중장기 계획의 진행상황을 봐가며 연간 계획을 세우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핵심 전략들은 크게 바뀌지 않는다"라면서도 "시장의 변화에 따라 세부 전략의 비중이 달라지게 되는데 올해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점에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