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로이터/연합뉴스). |
19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지난달 100만달러(약 13억원) 이상의 투자자산 보유자인 미국인 761명에게 온라인 ‘백만장자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 중 56%는 내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10%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15% 이상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는 3분의 1에 육박했다.
올해 들어 이미 18% 급락한 S&P500 지수가 내년에도 거의 비슷한 폭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뜻이다.
이번 설문조사를 수행한 시장조사업체 스펙트렘그룹의 조지 월퍼 사장은 "2008년과 2009년 금융위기 이후 백만장자 투자자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가장 비관적인 결과"라고 평했다.
개인 자산에서 가장 큰 위협 요소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가장 많은 28%는 ‘주식시장’이라고 답했다. 주가 하락을 가장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백만장자 투자자들이 전체 개인 보유 주식의 85% 이상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비관적인 시각은 증시에 압력으로 작용할 듯하다.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경기침체 가능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자산가들은 현금을 쥐고 관망 중인 듯싶다.
백만장자 투자자의 46%는 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비중을 지난해보다 늘렸다고 밝혔다. 이들 가운데 17%는 현금 비중을 "아주 많이 늘렸다"고 답했다.
내년 말 경제가 지금보다 ‘약해질 것’ 혹은 ‘훨씬 약해질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는 60%다.
시장 전망에 대한 백만장자 투자자들의 시각은 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밀레니얼 세대의 81%는 내년 말 자기 자산이 지금보다 늘 것이라고 자신했다. 46%는 10% 이상 불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절반 이상은 S&P500 지수가 내년 10% 이상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61%는 내년 자산이 지금보다 줄 것으로 예상했다.
월퍼 사장은 저금리와 자산가격 상승 시대에서 자란 밀레니얼 세대가 주가 하락 후 빠른 반등 패턴에 익숙한 반면 고령층의 경우 1970∼80년대 인플레이션과 10년 이상의 하락장을 기억하고 있어 시각의 차이가 뚜렸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