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연합뉴스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스피드테스트’ 운영사 우클라를 인용해 올해 3분기 한국의 5G 다운로드 속도 중간값이 516.15Mbps(초당메가비트)로 지난해와 올해 연속 1위에 올랐다고 전했다.
아랍에미리트(511.70Mbps)가 근소한 차이로 2위, 이어 불가리아·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싱가포르 순이다. 지난해 2위를 기록한 노르웨이는 스웨덴·중국·대만과 함께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접속 시간 비율이라는 뜻의 ‘5G 가용성’ 부문에서는 한국이 34.5%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조사 때(43.8%)보다 9.3%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미국의 5G 접속 가능률은 54.3%로 주요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상위권에는 키프로스(47.7%), 네덜란드(34.2%), 호주(33.3%) 등이 자리잡았다. 아랍에미리트(8.3%)와 스웨덴(8.6%)은 상대적으로 하위권에 놓였다.
우클라는 한국, 불가리아, 네덜란드, 아랍에미리트에서 5G 접속 시간 비율이 지난해보다 줄었다고 지적했다.
세계 5G 다운로드 속도 중간값은 168.27Mbps로 지난해(166.13Mbps)와 비교해 1% 빨라졌다. 반면 5G 업로드 속도 중간값은 18.71Mbps로 전년 동기(21.08Mbps) 대비 12% 떨어졌다.
29개국에서는 2G·3G 연결 비율이 20%를 웃돌았다. 29개국 가운데 중앙아프리카공화국(76.2%)은 전체 이동통신 사용량 중 4분의 3을 2G·3G에 의존했다.
보고서 작성자인 이슬라 메케타 우클라 마케팅 부문 수석 디렉터는 "5G가 이제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라면서도 "상당수 국가의 소비자들은 여전히 5G 혜택을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