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미국주식]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1% 이상↑…리비안 주가는 하락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13 08:05
뉴욕증시

▲뉴욕증권거래소 외관. AP/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1% 이상 상승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28.58p(1.58%) 오른 3만 4005.04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6.18p(1.43%) 상승한 3990.56으로, 나스닥지수는 139.12p(1.26%) 오른 1만 1143.74로 마쳤다.

S&P500지수 내 에너지, 유틸리티, 기술 관련주가 2% 이상 올랐다. 산업, 금융, 헬스 관련주도 1% 이상 오르는 등 11개 업종이 모두 상승했다.

개별 종목 중에선 지출 관리 소프트웨어 업체 쿠파 소프트웨어 주가가 사모펀드 인수 소식에 26% 이상 올랐다.

아웃도어 그릴 제조업체 웨버 주가는 회사 최대 주주인 BDT캐피털파트너스가 잔여 지분을 모두 사들이기로 했다는 소식에 23%가량 급등했다.

리비안 주가는 벤츠 메르세데스와의 합작을 일시 중단한다는 소식에 6% 이상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13일 예정된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13~14일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연준·Fed)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가 주목 받는다.

CPI의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낮아지면서 개선 낙관론도 나왔다. 다만 아직은 상황을 지켜보는 경계론이 지배적이다.

지난 10월 CPI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한 이후 인플레이션이 정점 이후 둔화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이에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 인상 폭을 기존 0.75%p에서 0.50%p로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미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 12월 0.50%p 금리 인상 가능성은 74% 수준이다.

그러나 이전 회의에서는 1주일 전 통상 90%까지 금리인상 폭 예측이 형성됐다. 이번에는 CPI 경계가 여전한 상황이다.

11월 CPI가 예상대로 추가로 둔화하지 않을 경우 12월 FOMC가 매파(통화 긴축 선호)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질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1월 CPI가 전월 대비 0.2% 올라 전달 0.4% 상승에서 낮아질 것으로 봤다. 전년 대비로는 7.3% 올라 전달 7.7% 상승에서 상승률이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11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올랐을 것으로 예상됐다. 전달에는 0.4%, 6.3% 올랐었다.

인플레이션 지표를 앞두고 기대 인플레이션이 내렸다는 추가 자료도 나왔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11월 미국 가계는 1년 후 인플레이션이 5.2%(중간값)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10월 5.9%에서 0.7%p 하락한 것이다. 2021년 8월 이후 최저치다.

향후 3년 뒤 기대 인플레이션은 전달 3.1%에서 0.1%p 내린 3%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3%로 전달 2.4%에서 0.1%p 떨어졌다.

유가가 지난해 12월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는 크게 잦아들었다. 다만 인플레이션 저하 속도와 이에 뒤따를 수 있는 경기침체 여부가 주목 받는다.

일각에서는 연준이 과도한 긴축에 나서 경제를 침체로 몰고 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주거비가 공식 지표에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또 다른 전문가들은 내년 인플레이션이 예상만큼 빠르게 둔화하지 않을 수 있다며 연준 긴축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내놓을 내년 금리 전망치와 경제 전망 역시 주목 받는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강하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매파적 발언을 쏟아낼 가능성이 있다.

15일에는 유럽중앙은행(ECB)과 잉글랜드 은행(BOE) 통화정책 회의도 예정돼 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날 증시 반등에도 시장 우려가 여전한 상황으로 이번 FOMC가 예상보다 매파적일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BMO 웰스 매니지먼트의 영-유 마 수석 투자 전략가는 CNBC에 "오늘의 움직임은 지난주 시장 부진 이후 나온 반사적인 반등"이라며 "내일 나올 CPI를 앞두고 조심스러운 낙관론이 있을 수 있지만, 기저에 약간의 우려도 있다"고 했다.

이어 "주가가 오르면서 변동성지수(VIX)가 크게 오른 것을 보면서 이러한 우려를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너스톤 웰스의 클리프 호지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지난달 발표된 10월 CPI 이후 금융 여건이 극적으로 완화됐기 때문에 연준이 12월 FOMC를 이용해 이러한 환경을 되돌릴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는 "시장이 (내년) 1분기 이후의 금리에 대해 너무 낙관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파월이 더 매파적으로 나오고, 점도표는 현재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것보다 더 장기간 더 높은 금리를 시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 12월 기준금리인상 가능성은 0.5%p가 74.7%, 0.75%p가 25.3%를 기록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17p(9.51%) 오른 25.00을 기록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