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정부, 전력계통 종합대책 마련에 나선다…"전력계통상 과제 극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18 15:42

산업부,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 1차 회의

2022111801000844000035261

▲재생에너지. 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정부가 늘어나는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력계통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력계통 종합대책을 마련한다.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실장은 18일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 제1차 회의에서 "전력계통 운영, 전력망 적기 보강 등 전력계통 전반을 둘러싼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으로 보다 근본적인 방안이 시급한 시점"이라며 "새로운 전력계통 종합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우리나라 전력계통이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전원믹스의 변화 및 전력망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저하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어 전력과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종합 고려한 관점에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안정적이고 회복력 있는 전력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그간 발전력 조정이 어려운 경직적인 전원인 원전,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전력 수요가 낮은 경부하기 시 여건 변화에 따른 수급조절 능력이 약화되며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원전, 석탄 등 전통전원과 달리 관성이 없어 고장 등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이 취약했다.

이를 위해 전원의 경직성을 완화시켜 주는 에너지저장장치(ESS), 관성을 공급하는 동기조상기 등 유연성 자원 확보, 예비력 기준 개선, 보조서비스 시장 등 시장제도를 개선한다.

또 최적화된 전력망 보강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지역 내 전력 수급 불균형 등으로 전력망에 대한 보강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적 수용성 등으로 전력망 적기 건설은 어려워지고 있다.

이를 위해 계통 여유지역으로의 발전원·전력수요 분산, 전력망 건설 대체방안(NWAs) 적극 활용, 기존설비 이용 효율화, 보강계획 수립 기준 개선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계통안정화 책임 강화(발전사업자),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계통운영자), 전력망 투자·운영·보수에 대한 의무 강화(송전사업자) 등 주체별 역할을 정립해 계통 질서를 확립하기로 했다.

이 밖에 현재 직면하고 있는 동해안 지역 발전제약, 제주 지역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등 지역별 계통현안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를 통해 유관기관, 민간전문가 등과 실현가능하고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