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CJ그룹, KAIST와 ‘뇌 모방 인공지능’ 연구한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31 13:50
2022103101001091500048891

▲31일 서울 신사동 CJ AI센터에서 진행된 공동연구 MOU 체결식에서 이치훈 CJ AI센터장(왼쪽)과 정재승 KAIST 뇌인지과학과 학과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CJ그룹은 자사 인공지능(AI)센터와 카이스트(KAIST) 뇌인지과학과가 ‘뇌 모방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따.

‘뇌 모방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설계하고, 뇌활동을 포함한 생체신호 등으로부터 인간의 의도와 행동을 분석하는 AI 기술이다. CJ AI센터는 지난 4월 AI인프라와 데이터의 효율적 통합 관리, AI를 활용한 계열사 비즈니스 난제 해결, AI생태계 활성화 및 전문인재 육성 등을 목표로 설립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앞으로 3년간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Brain-machine Interface)과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로봇팔 컨트롤에 대해 공동 연구를 수행한다. 나아가 중장기적 관점에서 ‘뇌 모방 인공지능(Brain-inspired AI) 연구센터’ 설립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KAIST 뇌인지과학과 학부생의 인턴십 기회 제공, CJ 연구원의 KAIST 파견 등 인적 교류도 진행한다.

양 기관은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뇌파 디코딩을 통한 의도 인식 및 로봇 제어와 관련된 AI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뇌 모방 인공지능은 고객 선호도 파악, 사람과 소통가능한 소셜 로봇의 진화 등 실생활 적용 범위가 넓다고 알려졌다. 장애인의 일상 불편함을 덜어줄 뇌파 제어 로봇팔,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진단 및 치료 등 최첨단 의료기술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치훈 CJ AI센터장은 "뇌인지과학에서 국내 독보적인 역량을 가진 KAIST 연구팀과의 산학협력은 AI를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및 사회공헌 측면에서 큰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CJ AI센터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그룹과의 협력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승 KAIST 뇌인지과학과 학과장은 "사고로 팔을 잃은 장애인들에게 생각대로 움직이는 로봇팔을 선사하기 위해서는 뇌파를 통해 의도를 읽는 기술이 필수적"이라며 "우수한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모인 CJ AI센터와 KAIST 뇌인지과학과 연구진들이 협업한다면, 수 년 내에 훌륭한 성과를 내리라 기대한다"고 전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