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환경 생각해 바꿔라"는 싫다더니...애플, 환경 탓 아이폰 충전기 안 주다가 '한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14 08:45
아이폰14 시리즈 출시

▲서울 중구 명동 애플스토어를 찾은 고객이 아이폰14 제품을 살피고 있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애플이 아이폰 충전기 관련 정책으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곤혹스러운 입장에 놓였다.

미국 테크 전문매체들과 AFP통신, 로이터통신 등을 인용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상파울루주 중부에 있는 제18민사법원의 카라무로 아폰수 프란시스쿠 판사는 브라질소비자협회 등이 애플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의 손을 들어 줬다.

이에 애플은 아이폰 12와 13 등에 충전기를 포함시켜 판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브라질 소비자들에게 1억 헤알(272억원) 손해배상을 하게 됐다.

이는 앞서 브라질 연방 법무부가 같은 이유로 애플에 올해 9월 부과한 과징금 1227만 5000헤알(34억 7000만원)과는 별도다. 당시 법무부는 애플에 과징금 처분과 함께 충전기를 제외한 상태로 아이폰 12와 13을 판매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

또 민사 1심 판결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2년간 브라질에서 아이폰 12와 13 등을 산 소비자들에게 충전기를 지급해야 한다. 또 아이폰을 신규로 판매하는 경우 항상 충전기를 포함해야 한다.

판사는 애플 충전기 미포함 조치가 소비자들이 아이폰을 사서 작동시키려면 충전기를 따로 사야만 한다는 것과 사실상 마찬가지라고 판결문에서 지적했다.

애플은 이번 판결에 항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애플은 2020년 가을에 낸 아이폰 12 시리즈부터 아이폰에 충전기나 이어팟을 포함하지 않고 판매해왔다. 이 방침은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을 포함한 전 세계 시장에 적용돼 왔다.

애플은 충전기와 관련된 다른 이슈를 유럽연합(EU)에서 겪고 있다. EU 입법부인 유럽의회는 2024년 말부터 모든 스마트폰, 태블릿, 카메라의 충전 포트 규격을 USB-C로 통일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안을 이달 4일 통과시켰다. 2026년 봄부터는 EU에서 판매되는 노트북 컴퓨터의 충전 포트도 USB-C로 통일된다.

이는 세계에서 처음 시도되는 조치다.

유럽의회는 이에 전자기기 관련 폐기물을 줄이는 동시에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EU는 특히 소비자들 입장에서 충전기가 하나로 통일되면 총 2억 5000만 유로(약 3550억 원)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때문에 애플은 내년 모델부터는 기존 자사 규격인 ‘라이트닝 단자’가 아니라 USB-C 단자를 포함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서 애플은 EU의 충전단자 단일화에 혁신을 방해하고 많은 양의 전자 폐기물이 양산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결국 애플이 고유 충전기를 고집하는 것과 아이폰 판매 시 충전기를 지급하지 않는 이유 모두 ‘환경 보호’가 포함된다.

그러나 해당 정책들이 모두 애플의 수익 증가와 관련이 깊어 ‘환경 파괴’ 정책을 ‘환경 보호’ 정책으로 표현한다는 지적도 있다.

IT매체 폰아레나는 지난 3월 애플이 아이폰 상자에 충전기와 이어폰을 제거해 약 50억 파운드(약 8조 690억원)를 절약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