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건설업계,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주택’ 건설 잰걸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12 10:29

저탄소·친환경 ‘모듈러·장수명·제로에너지주택’ 각광
용적률·건페율 완화는 과제…민간 사업성도 고려해야

가양 모듈러주택

▲SH가 발주한 국내 첫 모듈러 주택 ‘가양 라이폼 행복주택’. 사진=김준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한 달 전 수도권을 강타한 기록적인 폭우에 이어 역대급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휩쓰는 등 기후변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후위기를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 실현 중 하나로 ‘탄소중립주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건설산업계에 따르면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설치하는 탈현장건설(OSC) 핵심인 ‘모듈러주택’과, 층간소음의 획기적 예방 및 재건축 횟수를 줄이는 100년 수명 ‘장수명주택(가변형주택)’,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해서 에너지자립률을 100%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제로에너지인증 주택’이 최근 탄소중립주택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난 8·16대책을 통해 모듈러주택을 활성화하기 위한 ‘주택법’ 개정(용적률·건폐율 15% 완화) 및 장수명 주택의 인증대상 확대 등을 각각 올해와 내년 하반기에 발표할 것으로 계획돼 탄소중립주택 보급화가 더 탄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아울러 제로에너지 건물 인증은 오는 2024년부터는 연면적 1000㎡ 이상 민간 건축물이나 30가구 이상 공동주택 등까지 의무화 대상이 확대되는 상황이다. 한술 더 떠 서울시는 정부보다 1년 더 의무화를 앞당기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먼저 레고를 쌓듯 완성된 건축물을 쌓아 올리는 모듈러주택은 국회와 정부에서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미래 건설산업의 핵심 축이다. 여기엔 SH서울주택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활용 중에 있다.

지금까지 SH의 △가양모듈러주택 ‘라이폼’(30가구·6층)뿐만 아니라 LH의 △천안두정 행복주택(40가구·6층) △부산용호 행복주택(14가구·4층) △옹진백령 영구·국민임대(152가구·4층) △세종사랑의집 영구임대(16가구·2층) 등 단지들이 준공됐다. 추후 △인천신문(130가구·4층·GS건설) △세종6-3UR1·2(416가구·7층·계룡건설) △부여동남(150가구·3층·DL이앤씨) 등 696가구가 더 지어질 예정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받은 ‘2022스마트모듈러국회포럼’ 자료에 따르면 국내 첫 모듈러주택인 라이폼은 공장제작률이 52%였는데 천안두정에서 이를 92%까지 끌어올린 것도 주목할 만한 성과다. 게다가 천안두정은 탄소배출량을 RC(철근·콘크리트) 방식 대비 36.1% 감소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찬우 한양대ERICA 교수는 "향후 모듈러주택은 연간 1만가구(2만 유닛)시 19%, 2만가구(4만 유닛)시 26%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며 "연간 2만가구를 모듈러 주택으로 건설할 경우 약 64만t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100년 연한을 목표로 하는 장수명주택은 세종시 다정동에 있는 LH ‘세종 블루시티’(총 1080가구 중 116가구)에 있다. 자료에 따르면 건축물의 건설 및 운영으로 인한 세계 탄소배출량이 37%다. 그러나 장수명주택은 철거와 재건축 횟수를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약 17%, 건설폐기물 약 85%까지 절감할 수 있다.

제로에너지 인증 주택은 국토교통부와 현대건설이 시범 사업으로 추진한 국내 첫 제로에너지 아파트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가 대표적이다.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K-apt)에 따르면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 평균 관리비는 ㎡당 올해 1월 겨울 기준 1270원인데 반해, 인근 비슷한 시기 입주한 아파트가 동월 1631원으로 28% 이상 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모듈러주택은 여전히 용적률 부분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RC벽식구조에 비해 25cm 이상 높은 층고를 필요로 하기에 일조 확보를 위한 높이 제한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장수명주택과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용적률과 건폐율을 최대 15%까지 완화하는 법안이 마련돼 있으나, 민간의 수익성에 문제가 있어 아직은 공공에서만 효과를 볼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김진성 SH도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고층화 실험 및 3개 유닛 이상 조합 등 사업한계를 허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제로에너지 의무화에 앞서 정부가 건축비용을 낮추기 위한 관련 기술 개발을 앞당길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