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가스공사 평택 LNG생산기지 전경. |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한국전력공사 자회사인 발전 공기업들도 액화천연가스(LNG) 직수입을 넘어 자체 LNG 터미널을 갖추고 연료 공급에 나서는 시대가 열린다.
LNG 판매를 제외한 천연가스 산업 전반에 참여하는 명실공히 가스사업자로 재탄생 하는 것이다. 향후 제도 개선을 통해 LNG 저장기지 임대, 도입물량 스왑 및 해외 수출까지 사업 확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첫 주자는 한국남부발전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남부발전은 지난 제6회 이사회에서 ‘하동 자체 LNG 저장시설 확보 사업 기본계획(안)’을 심의, 원안 의결했다. 자체 LNG 저장시설 건설을 통해 전략적으로 자원 비축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에 부응하고, 하동에 건설 예정인 LNG 복합발전기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미래 지속 성장 동력 확보 의미도 있다고 남부발전측은 설명한다.
남부발전은 하동빛드림본부 내 여유 부지(토취장)를 활용해 자체 LNG 기지 건설에 나선다.
당초 8333억 원으로 예상된 총 사업비는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8856억 원으로 약 523억 원 늘어날 전망이다.
2023년 12월 착공 후 60개월 공사 기간을 거쳐 2028년 12월 완공 계획이다.
현재 남부발전은 기지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용역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10월까지 기본설계를 위한 용역계약 및 실행에 착수해 내년 11월까지 시공사(EPC) 선정 후 연말까지 공사계획 승인 획득 및 실제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기지에는 20만㎘급 LNG 저장탱크 2기가 건설된다. 이를 통해 연간 220만 톤 규모의 연료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항만설비로 9만 톤급 1선좌(기존 CTS 부두 개조)와 기화·송출설비, BOG 처리설비, 해수·취수설비 등 기타설비 등이 들어선다.
1호 저장탱크는 2027년 12월, 2호 저장탱크 2028년 12월 준공 후 각각 30년 간 운영될 예정이다.
과잉 가스인프라 논란에도 남부발전이 자체 LNG 저장기지 건설에 나선 데에는 경제성 효과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부발전은 이번 사업에서 총 사업이 8333억 원 투입 시 기준수익률(IRR) 약 5.06%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동에 자체 LNG 기지를 건설하지 않고 한국가스공사 주배관과 연결배관 건설을 통해 하동발전기에 연료를 공급할 경우, 공사비에 더해 가스공사에 향후 30년 간 지불하게 되는 시설이용료까지 포함돼 오히려 경제성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저렴한 시기 직수입을 통해 LNG를 확보하고, 자체 저장기지를 이용해 안정적으로 자가발전용 연료로 사용하면 향후 운영비 측면 등에서 오히려 유리할 것이라는 기대다.
발전업계 한 관계자는 "발전공기업들이 가스공사 시설을 이용하게 되면 수십 년 간 비싼 시설이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면서 "더구나 자체 LNG 저장시설이 없어 시설을 임대해야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기간, 원하는 용량 만큼의 시설을 임대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어 이 또한 발전사의 자체 LNG 기지 건설의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LNG 수급 위기 시에는 위험부담 분산 효과도 거둘 수 있다.
하지만 정부가 정한 ‘재무상황이 위험한 상위 14개 공공기관’ 중에서도 사업수익성 악화(징후)기관으로 발전사의 분류되는 한전 발전자회사가 당장 수천 억 원씩의 시설투자에 나선다는 점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말 남부발전을 비롯한 5개 한전 발전자회사와 한전 등을 재무위험기관으로 분류해 자산매각, 사업조정, 경영효율화 등 2026년까지 ‘재무 다이어트’에 나설 것을 주문한 바 있다.
가스시설 과잉에 따른 인프라 사장화 논란도 여전하다.
국내에는 가스공사가 당진기지 건설에 착수해 향후 총 규모 200만㎘ 수준의 LNG 저장탱크 10기가 들어설 예정이다.
포스코, SK, GS 등 민간발전사의 LNG 저장시설 확대도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화석연료에 속하는 LNG 소비량이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지도 않는 상황이어서 공기업인 한전 발전자회사들의 LNG 터미널 건설 붐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youns@ekn.kr